"루센티스 시밀러 이어 두번째 계약… 안과질환 치료제 판매 협력 확대"
삼일제약(대표 허승범)은 삼성바이오에피스(대표 고한승)와 황반변성 치료제 '아일리아(성분 애플리버셉트)'의 바이오시밀러인 'SB15(개발코드명)'를 국내 판매하기 위한 마케팅 파트너십 계약을 체결했다고 1일 밝혔다.
<히트뉴스>는 지난달 삼성바이오에피스의 아일리아 바이오시밀러의 파트너사로 삼일제약이 유력하다고 단독으로 보도한 바 있다. (관련 기사 : 단독 | 삼성바이오에피스 '아일리아' 시밀러 파트너사 삼일제약 유력)
아일리아는 혈관내피생성인자(VEGF)에 결합해 신생혈관 형성을 억제하는 황반변성 등의 안과질환 치료제다. 연간 글로벌 시장 매출 규모는 약 12조원에 달한다. SB15는 바로 이 아일리아의 바이오시밀러다. 황반변성이란 안구 망막 중심부의 신경조직인 황반(yellow spot)의 노화, 염증 등으로 인해 시력에 장애가 생기는 질환으로서, 심할 경우 실명을 유발할 수 있다.
삼일제약 측에 따르면, 양사간 안과질환 치료제 바이오시밀러 판매 협력은 이번이 두 번째다. 두 회사는 2022년 6월 루센티스(성분 라니비주맙)의 바이오시밀러인 '아멜리부'의 마케팅 파트너십 계약을 체결하고, 2023년 1월부터 국내 시장에서 판매하고 있다.
고한승 삼성바이오에피스 대표는 "이번 계약을 통해 우리 회사가 보유한 연구개발(R&D) 역량과 삼일제약이 가진 영업ㆍ마케팅 전문성의 시너지를 더욱 고도화할 수 있게 됐다"며 "더 많은 국내 안과질환 환자들에게 고품질 바이오의약품을 통한 치료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허승범 삼일제약 대표는 "아멜리부의 협력을 통한 양사간의 신뢰를 바탕으로 SB15의 국내 유통 및 판매 계약을 체결하게 됨에 따라 망막 질환영역의 치료 옵션이 더욱 확대됐다"며 "안질환 시장 내 삼일의 강점을 백분 활용해 과학적 근거에 기초한 SB15의 효과 및 안전성을 적극 알려 망막질환 환자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삼성바이오에피스는 2020년 6월부터 2022년 3월까지 미국ㆍ한국 등 10개국에서 습성 연령 관련 황반변성(nAMD) 환자 449명을 대상으로 SB15의 글로벌 임상 3상을 진행했다. 회사는 작년 4월 미국 시력안과학회(ARVO) 연례 학술대회에서 공개한 임상 3상 최종 결과를 통해 오리지널 의약품과의 광범위 비교 연구를 바탕으로 한 의약품 효능, 안전성 등의 임상 의학적 동등성을 확인한 바 있다.
관련기사
- 단독 | 삼성바이오에피스 '아일리아' 시밀러 파트너사 삼일제약 유력
- 오늘 특허 만료 '아일리아'… '국내사 시밀러' 줄줄이 출격 준비
- "아일리아, 습성황반변성 T&E 요법에 이상적… 맞춤치료 가능"
- 유사 적응증 '아일리아·루센티스' 시밀러 확보한 삼일제약 묘수 있나
- 고용량 '아일리아' 상업화 맞서 국내사 "저용량 바이오시밀러 먼저"
- 삼성바이오에피스, '키트루다 바이오시밀러' 글로벌 임상 1상 개시
- 삼성바이오에피스, 아일리아 바이오시밀러 '아필리부' 국내 허가받아
- [허가/임상] 폐암 1차치료 '타그리소+ADC' 병용임상 3상 승인
- 삼성바이오에피스, APAO서 아일리아 시밀러 임상3상 후속결과 발표
- 삼일제약·삼성바이오에피스, 황반변성치료제 '아필리부' 출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