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말 마스크 업체, 생산 돕는다… 정부, 인력 · 차량 지원

김용범 기획재정부 제1차관
(사진제공=기획재정부)

지난 5일 발표된 '마스크 수급 안정화 대책'이 오는 9일 본격 시행됨을 앞두고 정부가 '마스크 수급상황 점검 T/F'를 열어 공적물량 '80%'의 차질없는 공급, 중복구매 방지 등을 대책 점검에 나섰다.

오늘(7일)과 내일(8일) 마스크생산을 극대화하기 위한 독려 활동을 강화하고 인력·차량 지원에 나선다. 특히 생산업체들과 공적물량(일일 생산량의 80%) 확보를 위한 계약을 전체 물량 중 98.7% 가량 체결했다.

김용범 기획재정부 1차관은 지난 6일 오후 정부서울청사에서 '마스크 수급상황 점검 T/F'를 주재해 이같이 논의했다.

T/F는 지난 5일 발표된 '마스크 수급 안정화 대책'의 본격 시행일인 9일에 앞서, 확대된 공적물량(50 →80%)의 차질없는 공급, 중복구매 방지 등 동 대책의 핵심 내용 등을 점검하기 위해 개최됐다.

김용범 기획재정부 1차관이 주재하고 차관보, 경제정책국장, 교육부·복지부·행안부?조달청?관세청?식약처 등 관계자 등이 자리했다.

김용범 차관은 "수급 안정화 대책이 효과적으로 작동하기 위해서는 범정부적인 협력체계의 구축과 공적 판매처 등 민간 기관과의 긴밀한 협력이 필요하다"며 "모든 부처가 책임감을 가지고 적극적으로 행동에 옮겨줄 것"을 당부했다.

이들은 안정화 대책 실시 첫 주말인 7일(오늘)과 8일(내일) 마스크생산을 극대화하기 위한 독려 활동을 강화하고, 이를 위한 인력 · 차량 지원 등에 나선다.

또한 조달청은 마스크 생산업체 131개사 중 125개사와 계약 체결을 마쳤다. 이들과의 계약 물량은 전체 국내 마스크 생산 물량의 98.7%에 해당한다.

계약체결을 위헤 협의중인 1~2개 기업에 대해서는 계약체결을 마무리하는 한편, 품질?규격이 적합하지 않거나, 법적 분쟁 상태에 있어 계약이 어렵거나, 생산자체가 어려운 기업 등에 대한 방안을 검토 중이다.

이와함께 매점매석으로 확보한 물량의 신속한 공적 유통을 위해 경찰청·관세청·조달청 등 관련 기관이 정보를 신속히 공유하고 강력한 공동 대응 체계를 구축한다.

아울러 보건용 마스크의 핵심 소재인 MB(Melt Blown) 필터 공급 확대 및 해외 수입 가능성 등을 점검하고 수급에 차질이 없도록 노력을 강화하기로 했다.

저소득층 등 취약계층에 대한 마스크 공급 지원 방안과 전달체계 등에 대해서도 논의했다. 기초수급자, 차상위 사회복지시설 거주자 등 총 246만명을 대상으로 올해 예산에 맞게 연간 50개 보건용 마스크를 지원하나, 마스크 확보에 어려움이 있는 상황이다.

이밖에 오는 23일 예정된 개학을 앞두고, 국내 마스크 공급 확대를 위해 비축 마스크를 방출한 초?중?고에 대한 마스크 환원방안에 대해서도 검토했다.

T/F는 오는 9일 '마스크 수급 안정화 대책'의 본격적인 시행일에도 개최될 예정이다.

정부는 T/F를 통해 수급 안정화 대책의 핵심 내용인 '공평한 마스크 보급을 위한 3대 구매원칙(▶구매량 1주 1인 2매 ▶요일별 마스크 5부제 ▶중복구매 확인 시스템)' 등이 제대로 구현돼 소비자 불편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노력할 방침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히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