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최초의 1회 투여 제형 '투약편의성' 강조

LG화학이 골관절염 치료제 '시노비안(사진)'으로 중국시장 공략에 나선다.
LG화학은 중국 파트너사 이판제약(Yifan Pharmaceutical)이 LG화학의 1회 요법 골관절염 치료제 시노비안(수출명 히루안원 Hyruan ONE)을 중국시장에 출시했다고 3일 밝혔다.
회사에 따르면 이판제약은 2000년에 설립된 중국 항저우(본사) 소재의 종합제약사로 항염증, 항암, 내분비·대사질환 등 폭넓은 사업 포트폴리오를 바탕으로 중국 전역에 촘촘한 영업망을 구축하고 있다.
현재 임직원 6000여 명, 연매출 1조원(8억달러) 규모를 기록하고 있으며, '중국 100대 혁신 제약사 목록(CPIE 100, 2022년)'에 등재될 만큼 R&D 및 상업화 역량을 높게 평가 받고 있는 기업이다.
시노비안은 LG화학이 자체기술로 개발한 히알루론산(HA) 성분의 무릎 골관절염 치료 신약으로 1회 투여만으로 기존의 다회 투여 제형과 유사한 치료효과를 내는 것이 특징이다.
회사는 "중국 무릎 골관절염 환자 대상 임상 3상 결과 시노비안의 무릎 통증 감소 및 관절 기능 개선 효과, 안전성이 대조약인 다회 제형 HA 주사제품과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이판제약은 2019년 8월 현지 임상 3상을 시작해 2021년 12월 판매허가를 신청했고, 2023년 4월 판매허가를 획득했다. 이후 약 1년간 중국 정부와 협상을 거쳐 국가 의약품 보험 목록(National Reimbursement Drug List, NRDL)에 시노비안을 등재시키며 성공적 시장 안착에 청신호를 켰다.
의약품 시장조사기관 아이큐비아에 따르면 골관절염 HA 주사제 중국 시장은 2000억원 규모로 미국, 일본에 이은 전세계 세번째 규모 시장이다. 현재 중국시장 내 1회 투여 제형은 시노비안이 유일하다는 점에서 중국에서 주로 처방되는 5회 투여 제형(1주 1회씩 5주 투약) 대비 확실한 경쟁우위가 있을 것으로 회사는 전망하고 있다.
실제로 LG화학은 중국 의사들을 대상으로 치료 선호도 조사를 실시했는데, 설문 참여자 중 상당수(87%)가 원거리 환자 비율, 감염 노출 환경 최소화 등을 고려 시 1회 투여 제형에 이점이 있다며 사용 의향이 있다고 긍정적 반응을 보였다고 부연했다.
LG화학은 시노비안 국내사업 경험을 이판제약이 빠르게 흡수할 수 있도록 ‘온보딩프로그램’을 정기 운영하면서 사업 역량 강화에 집중하고 있으며, 의사 대상 학술 콘텐츠 개발 및 한중 학술 교류를 통해 이판제약의 현지 영업 마케팅 활동을 적극 지원할 방침이다.
LG화학 프라이머리 케어 사업부장 황인철 상무는 "새로운 치료 옵션을 원하는 중국 관절염 환자를 위한 전략적 협업 체계 구축을 통해 시장 침투를 가속화할 것"이라며 "중국 내 최초 1회 제형 관절염 치료제 시노비안의 경쟁력을 바탕으로 치료 패러다임 변화를 주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뜨거워지는 '시노비안' 약가 소송 2R... '자료제출' 놓고 평행선
- LG화학과 정부 간 관절염약 '시노비안' 성분 분쟁 2라운드 재개
- 유영제약 신약 '레시노원' 1300억 관절염 주사제 시장 출격
- 유영·신풍, 효과 지속형 1회 요법 골관절염 주사제 개발
- 중남미 의약품청 신설, 국내 제약업계도 갈길 바빠지나
- LG화학의 2분기 최대 매출, 신약 기술수출(L/O)이 이끌었다
- LG화학, 수입 의존 영아용 6가 혼합백신 국산화 2상 첫걸음
- 경쟁자가 시장에 나왔지만, LG화학 '6가 백신' 전략은 이유있다
- 손지웅 LG화학 사장 "오픈 이노베이션으로 'FIPCO' 도약"
- LG Chem's Ji-Woong Son: 'Advancing to FIPCO via Open Innovation'
- 엘지화학 시노비안 약가인하 소송... 2R 항소심도 정부 승소
- 대법원 판결까지 간 '시노비안'... 6년째 상한금액 유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