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1005 연구자 임상, '유효성·안전성' 확인 목표…예병석 신경과 교수 주도
삼진제약, 임상약 제조 담당…약물 개선 위한 제제 개발도 착수

퇴행성 뇌질환 치료제 개발기업 아리바이오가 치매 관련 파이프라인의 지속적인 확장을 통해 신약 개발에 나서고 있다.

아리바이오(정재준 대표)는 최근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루이소체 치매 치료제 'AR1005(개발코드명)'의 국내 2상(연구자 임상) 임상시험계획(IND) 승인을 받았다고 7일 밝혔다.

아리바이오는 이미 미국 식품의약국(FDA) 임상 3상을 순항 중인 경구용 알츠하이머병 치료제 'AR1001'을 필두로, 국내 임상 2상에 진입한 경도인지장애 천연물 치료제 'AR1004'에 이어 루이소체병 치료제인 AR1005가 임상 2상에 진입하며 글로벌 치매 치료제 개발에 도전하고 있다.

아리바이오는 연세대 세브란스병원과 연구중심병원 치매 유닛 사업을 공동으로 추진하며 연구개발(R&D)을 진행, 이번 다중기전 루이소체 치매 치료제 AR1005에 대한 임상 2상에 진입하게 됐다. 이번 AR1005 임상 2상은 유효성과 안전성을 확인하는 연구자 임상시험으로, 세브란스병원 단일 기관에서 예병석 신경과 교수가 주요 연구자로 주도한다. 총 60명의 환자가 20주간 AR1005를 복용하게 되며, 루이소체 치매의 정확한 진단을 위한 영상 기법 및 바이오마커 연구도 진행된다.

이와 함께 세브란스병원 대사성 치매 연구중심병원 사업의 참여 기업인 삼진제약은 임상약의 제조를 담당하며, AR1005 약물 개선을 위한 제제 개발도 착수했다. 환자 모집은 올해 말 시작될 예정이며, 빠르면 2024년말 임상 결과 톱라인 발표가 있을 예정이다.

아리바이오 관계자는 "경구용 약물인 AR1005가 신경 나트륨 채널의 작용을 감소하고 중추신경계를 억제하는 주요 신경 전달물질들을 증가시켜, 루이소체병 환자에서 발견되는 신경 과흥분을 호전하는 효과가 있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히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