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바이오팜, 美 프로테오반트 지분 60% 취득 결정
프로테오반트 인수 통해 TPD 기술 확보…"외부 자금 조달 없어"

SK바이오팜이 미국 로이반트사이언스(Roivant Sciences)와 SK(주)가 설립한 조인트벤처(JV)인 미국 프로테오반트사이언스(ProteoVant Sciences)를 인수하기로 결정했다.
SK바이오팜은 미국 프로테오반트사이언스(이하 프로테오반트)의 지분 60.0%(4000만주)를 약 620억원에 취득하기로 결정했다고 지난 30일 공시했다. 이는 자기자본 대비 19.6%에 해당하는 규모이며, 주식 취득 예정 일자는 오는 7월 17일이다.
SK바이오팜은 이번 지분 취득 목적에 대해 글로벌 수준의 표적단백질분해(Targeted Protein DegradationㆍTPD) 기술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라고 밝혔다. 프로테오반트는 2020년 3월 미국에서 설립된 바이오 벤처로 표적단백질분해(TPD) 분야에서 글로벌 수준의 기술과 분자접착제(Molecular glue)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이날 오전 공시 후 진행된 콘퍼런스콜에서 SK바이오팜은 프로테오반트 인수에 나선 배경 및 재무적 영향을 설명했다.
정지영 SK바이오팜 재무본부장은 "프로테오반트는 약 50명의 인력이 기반 기술 개발과 디스커버리(Discovery) 단계의 과제를 수행하고 있다"며 "SK바이오팜은 운영 효율을 통해 (프로테오반트의) 인수 후 연간 비용을 약 3000만달러(약 400억원) 이하 수준으로 예상하고 있다"고 말했다.
정 본부장은 "프로테오반트는 약 7500만달러(약 988억원)의 현금을 보유하고 있어, 추가 자금 투입 없이 2년 이상의 운영이 가능하다"며 "TPD 기술은 신약 개발의 모달리티(Modality) 중 가능성을 인정받고 있는 분야 중 하나다. 이번 인수를 통해 글로벌 수준의 TPD 기술을 확보하게 됐다"고 강조했다.
그는 "당사는 4750만달러(약 620억원)로 프로테오반트의 지분 60%를 확보했다. '파이낸셜 스토리(Financial story)'의 일환으로 이번 프로테오반트 인수에 나섰으며, 글로벌 리서치 거점을 확보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고 했다.
SK그룹이 지난 2021년 발표한 파이낸셜 스토리에는 4대 중장기 전략 중 하나인 연구개발(R&D) 플랫폼의 혁신, 즉 R&D 모달리티 확장이 포함돼 있다. 한편 프로테오반트의 나머지 지분 40%는 2021년부터 SK바이오팜의 모회사인 SK주식회사가 보유하고 있다.
정 본부장은 "프로테오반트 인수 이후 연결대상 종속기업에 해당돼 손익이 합산된다"며 "이 같은 부분이 SK바이오팜의 손익에 부담을 줄 수 있지만, 4분기 일부 파트너의 수익도 기대하고 있기 때문에 4분기 흑자 전환 목표를 유지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그는 이어 "SK바이오팜이 보유한 현금을 활용해 프로테오반트 인수에 나서는 구조다. 이번 인수를 위한 외부 자금 조달은 없다"며 "새로운 파이낸셜 스토리 관련해 오는 7월 중순 간담회를 계획하고 있다. 일정이 확정되면 공정 공시에 유의해 발표 내용을 당일 홈페이지 등을 통해 공개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정구민 SK바이오팜 신약연구소장은 프로테오반트의 표적단백질분해(TPD) 기술 및 차별화된 분자접착제 플랫폼을 설명했다. 정 소장은 "표적단백질분해(TPD) 기술은 차세대 체내 단백질분해 시스템을 이용해 질병의 원인이 되는 표적단백질을 제거하는 기술"이라고 밝혔다.
정 소장은 "프로테오반트는 프로탁(PROTAC) 약물 개발의 전반에 대한 기술을 확립해 운영하고 있다. 또 기존 경쟁사들의 기술 대비 확장성이 탁월한 분자접착제 플랫폼 구축을 진행하고 있다"며 "이 같은 측면에서 봤을 때, TPD 기술 분야에서 차별화된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고 힘주어 말했다.
그는 이어 "TPD 기술은 기존 치료제로 접근할 수 없었던 영역으로의 확장 및 내성 극복 가능성 때문에 최근 각광받고 있는 신규 모달리티 분야이며, 합성신약에 기반한 기술"이라며 "합성신약으로 글로벌 신약 개발 역량을 보유한 SK바이오팜에 있어 적합한 성장 영역으로 판단된다"고 했다.
"프로테오반트 인수 통해 파이프라인 확장 나설 듯"
바이오 업계 관계자들은 SK바이오팜이 이번 프로테오반트 인수를 통해 신규 파이프라인(신약 후보물질) 개발에 나설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한 바이오 업계 관계자는 "일반적으로 TPD 기술이 아직까지 주로 항암제 개발에 활용되고 있지만, 중추신경계(CNS) 질환에도 적용이 가능하고, 실제로 많은 글로벌 기업들이 TPD 기술을 활용해 CNS 치료제를 개발 중"이라며 "SK바이오팜에서 이미 개발 경험이 있는 CNS 질환에 TPD 기술을 적용하는 것이 충분히 가능할 것 같다"고 내다봤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는 "SK바이오팜은 그동안 저분자 화합물 위주의 파이프라인을 개발해 왔다. 이번 인수를 통해 TPD 기술을 포함, 모달리티를 다변화하는 전략으로 파이프라인 확장에 나설 것 같다"며 "이동훈 사장 체제로 바뀐 이후, SK(주)와 SK바이오팜의 연결고리가 강화된 것으로 알고 있다. 신약개발 TF와 시너지 창출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 SK바이오팜, 美 프로테오반트에 620억 규모 출자 결정
- 뇌전증 신약 '세노바메이트' 성과와 국산 신약의 숙제
- SK바이오팜 "세노바메이트, 캐나다 시판허가 승인"
- SK바이오팜, 글로벌 바이오펀드에 265억 투자
- SK바이오팜, '세노바메이트' 12분기 연속 매출 성장
- 이동훈 사장 "SK바이오팜, 2026년 기업가치 19조 '빅 바이오텍' 도약"
- SK바이오팜 "뇌전증 신약 세노바메이트, 2Q 미국 매출 최대폭 성장"
- Strong 2Q US Sales Reported for SK Biopharma’s Cenobamate
- '엑스코프리 승승장구' SK바이오팜이 꼽은 미래 핵심 먹거리는 'TP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