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플릭시맙 바이오시밀러 램시마, 램시마SC 주요데이터 공유 심포지엄 개최
세계 최초 인플릭시맙 피하주사 제형 '램시마SC' 경쟁력 집중 조명
램시마SC,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 임상서 정맥주사 제형 대비 우월성 확인
셀트리온이 개발한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램시마(정맥주사ㆍIV 제형)'와 '램시마SC(피하주사 제형)'가 2023 유럽류마티스학회(European Congress of RheumatologyㆍEULAR 2023)에서 해외 의료진의 호평을 받으며 경쟁력을 다시 한번 입증했다.
셀트리온그룹(회장 서정진)은 1일(현지 시각) 이탈리아 밀라노 미코 컨벤션센터에서 열린 EULAR 2023에서 '인플릭시맙 IV에서 SC로 - 류마티스 질환의 주요 치료제(Infliximab IV to SC - Mainstay Therapy in Rheumatology)'를 주제로 한 학술 심포지엄(Satellite Symposium)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날 심포지엄에는 세계 각국 류마티스 질환 전문 의료진 및 업계 관계자 등 200여명이 참석해 류마티스 질환의 주요 치료제로 램시마와 램시마SC를 조명하는 시간을 가졌다.
특히 심포지엄 참석자들은 류마티스 질환에서 치료 옵션으로 부상하고 있는 램시마SC의 경쟁력에 주목했다. 인플릭시맙 최초의 피하주사 제형인 램시마SC는 류마티스관절염(RA) 환자 대상 임상에서 인플릭시맙 IV 제형 대비 우월성을 입증했다. 아울러 인플릭시맙의 주요 적응증인 강직성 척추염(AS) 환자 대상 임상에서도 유효성과 안전성을 확인했다.
지난 2013년 세계 최초로 램시마가 인플릭시맙 바이오시밀러로 글로벌 규제기관으로부터 판매 허가를 획득한 이후, 다양한 단클론항체 바이오시밀러들이 개발돼 환자의 치료 접근성을 높이는데 기여해 왔다. 셀트리온그룹은 램시마에 이어 제형의 편리성과 효능을 앞세운 램시마SC를 시장에 선보이며 두 제품이 류마티스 질환의 주요 치료제로 주목받고 있다고 소개됐다.
셀트리온그룹 관계자는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 대상 임상에서 인플릭시맙 IV 대비 램시마SC의 통계적 우월성이 확인되면서 램시마SC의 경쟁력이 더욱 주목받고 있다"며 "유럽 시장에서 안정적인 점유율로 업계 선도적인 위치에 안착한 램시마에 이어 환자 편의성을 갖춘 램시마SC도 효과적인 치료제 옵션으로 유럽을 비롯한 글로벌 시장에 확대 공급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램시마와 램시마SC는 유럽 시장에서 지난해 4분기 기준 합산 60.6%의 점유율을 기록했다. 회사 측은 주요 성장동력인 램시마SC가 유럽 시장에서 점유율을 꾸준히 끌어올리며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 K제약바이오, 바이오 USA서 글로벌 파트너링에 올인
- 셀트리온 "유럽류마티스학회서 악템라 시밀러, 임상1상 데이터 공개"
- 셀트리온, 스텔라라 바이오시밀러 유럽 허가 신청
- 셀트리온, 휴미라 바이오시밀러 '유플라이마' 美 FDA 허가 획득
- 셀트리온헬스케어, '램시마SC' 브라질 출시…중남미시장 본격 공략
- 셀트리온, FDA에 오크레부스 바이오시밀러 3상 IND 제출
- 셀트리온, 美 학회서 '램시마SC' 글로벌 임상3상 결과 구두 발표
- 셀트리온, 1분기 영업익 1823억…전년비 41% 증가
- 셀트리온, '오크레부스 바이오시밀러' 임상3상 신청
- 셀트리온, '졸레어' 바이오시밀러 유럽 품목허가 신청
- 셀트리온 창업주 서정진 회장, 지주사 셀트리온홀딩스 복귀
- 셀트리온 "램시마SC, 글로벌 임상3상서 유효성·안전성 확인"
- 셀트리온, 바이오 USA 참가해 글로벌 파트너십 강화
- 셀트리온, 美 바이오텍과 '휴미라' 바이오시밀러 경구제 개발
- 셀트리온,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램시마SC' 뉴질랜드 품목허가 획득
- 셀트리온, 美서 '램시마SC' 적응증 소아 대상으로 확장
- 셀트리온, 연내 최대 5개 후속 바이오시밀러 허가 신청
- 셀트리온, 스텔라라 바이오시밀러 'CT-P43' 국내 품목 허가 신청
- 셀트리온, 주주가치 제고 위해 500억 규모 자사주 추가 매입 결정
- '램시마' 벌써 유럽 허가 10주년…"기념 캠페인 계획"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