켄뷰, 기저질환자 대상 임상 근거 담은 백서 발간
고령자 진통제 선택 기준 확립 "근거 기반 복약지도에 도움 될 것"

켄뷰(대표 백준혁)는 기저질환자 대상 통증 관리에서 아세트아미노펜의 안전성과 임상적 근거를 담은 'Bridging Gap in Pain Management for Special Consumers: 환자의 통증 관리 격차 해소' 백서를 발간했다고 26일 밝혔다.
이번 백서는 심혈관질환·신장질환·위장관장애·골관절염 등 기저질환자의 맞춤형 통증 치료 기준 전달을 위해 데이터 분석기관 아이큐비아와 협력해 제작됐다. 주요 내용으로는 국내를 포함한 중국·싱가포르 등 아시아 3개국 현직 의료진의 임상 경험이 담겼다.
백서에 따르면 세계적으로 15억명 이상이 만성 통증을 경험하며 상당수가 고령이거나 기저질환자다. 이들은 일반 진통제 사용 시 부작용 위험이 높아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고 초고령사회로 진입하면서 안전한 진통제 복용이 중요한 과제로 언급된다.
아세트아미노펜은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NSAIDs) 대비 위장관·심혈관계·신장계에 미치는 부담이 상대적으로 낮고 약물 상호작용 가능성이 제한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미국노인의학회와 미국심장협회에서 고령자 및 심혈관질환자에게 아세트아미노펜을 우선 고려한다는 게 백서의 주요 내용이다.
반태현 가톨릭대학교 은평성모병원 신장내과 교수는 백서를 통해 "만성 신장질환자와 신장 기능이 저하된 환자에게는 아세트아미노펜이 안전한 선택지인 경우가 많다"며 "의료진이 환자의 상태와 통증 정도를 종합해 안전성과 치료 효과의 균형을 맞추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헀다.
이상록 태전온누리약국 약사는 "아세트아미노펜은 임상 근거가 충분한데도 부작용에 관한 오해가 많다"며 "특히 고령인은 진통제 선택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있는데 백서를 통해 약물 선택 기준을 제시함으로써 근거 기반 복약지도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전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