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바이오 경력직 채용정보 (2024/07/10)

현지 유통 파트너사와의 교섭 및 계약 체결, 현지 시장에서 판촉활동 수행, 현지 시장 내 재고 및 출하 관리, 현지 시장 내 발생 가능한 위기관리, 유럽ㆍ중동ㆍ아프리카 권역 내 판매 증진 및 손익 관리 전략 수립 업무를 담당한다. 해외영업 및 현지 거래처 관리 경험 보유자로 영어 사용에 능통해야 하며 MS 오피스 활용 가능자여야 한다. 생명과학ㆍ의학ㆍ약학ㆍ약물경제학 전공 학사 이상 학위 소지자, 제약바이오 의약품 해외영업 경력 보유자 등을 우대한다.
국가별ㆍ제품별 시장조사 및 판매전략 수립, 필드 영업, 마케팅 행사 지원, 주요 고객 관리, 파트너사 개발 및 관리, 매출ㆍ영업 관리 및 본부 내 행정ㆍ회계 업무를 담당한다. 학사 이상 학력 소지자로 유관 경력 3~5년 보유해야 한다. 우대 사항에는 약학ㆍ생물학ㆍ생명과학ㆍ생명공학ㆍ의학 등 관련 전공자, 영어 능통자, 제약바이오 사업개발 관련 경력 보유자가 있다.
CSO 소싱 업무, 신규 유치 지원 업무, 기존 CSO 거래처 관리, 마케팅 자료 수집 및 데이터 분석, 데이터 분석 통한 시장조사 업무 등을 수행한다. 초대졸 이상인 사람으로 우대 사항에는 제약업 마케팅 및 영업관리 경력자, 직무관련 자격증 소지자, 광고 매체 운영 관리 경험자, 매출ㆍ미디어 데이터 분석 가능자가 있다.
신규 도입ㆍ제휴 후보제품 발굴 질환군별 시장 및 신제품 개발 현황 분석, 시장분석ㆍ사업성 분석 및 사업 제안서 작성, 해외 신제품 도입 후보제품 검토 업무 등을 담당한다. 약학ㆍ생물학 등 전공자로 학사 이상 학력을 보유하고 신제품 개발ㆍBDㆍ시장분석 경력자여야 한다. 우대 사항에는 주사제 개발 경력자, 석ㆍ박사 학위 소지자, 국내외 네트워크 보유자가 있다.
전문의약품 및 병의원 관련 마케팅 전반, 마케팅 전략 수립 및 실행, 담당 품목 키메시지 제작 및 교육, 신제품 시장성 검토 및 Sales Forecast 수립 업무를 수행한다. 학사 이상 학력 소유자로 전문의약품 마케팅 경력 2년 이상이어야 한다. 소화기ㆍ통증PO제ㆍ영양주사제ㆍ의료기기 마케팅 경력자, 제약산업 관련 이해가 높은 자, MS 오피스 활용 능력 우수자가 있다.
이화학 시험자 및 시험관리 업무 등을 담당한다. 화학ㆍ제약학ㆍ약학 등 관련 학과 전공자로 대졸 이상 학력을 보유해야한다. QC 시험 경력 최소 2년 이상의 동종업계 경험자여야 한다. 우대 사항에는 완제의약품 QC 업무 경험자가 있다.
개량신약 및 제네릭의약품 신제품 제제연구, CTD 작성, 기기관리 업무를 담당한다. 화학ㆍ약학ㆍ생명과학 등 이공계 학과 전공 석사 이상 학력 소지자로 고형제 제제연구 경력자여야 한다. 우대 사항에는 개량신약 개발 경험자, 가용화연구 경험자, 이층정 제제연구 경험자가 있다.
생산공정 적절성 검토, 트러블슈팅, 신규제조원 추가 및 관리, 수출용 제품 시험 밸리데이션 및 안전성 시험, 세척ㆍ시험ㆍ공정 밸리데이션 업무 지원 업무를 수행한다. 생명과학ㆍ의학ㆍ약학 관련 전공 학사 이상으로 관련 경험 10년 이상 보유해야 한다. 약사 자격증 소지자, 팀장 경력자, 제제연구 논문의 석사 학위 소지자, 유동층 과립기를 이용한 과립 생산 이력 3년 이상 보유자 등을 우대한다.
주요 제품 마케팅 전략수립 및 실행 총괄, 시장 및 경쟁사 분석, 세미나ㆍ심포지엄 기획 및 개최, 마케팅팀 전반 업무기획 및 팀 리딩 업무를 담당한다. 학사 이상 학위 소지자로 ETC 마케팅 PM 경력 3년 이상, 팀 관리 및 리더십 능력,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보유해야 한다. 우대 사항에는 로컬ㆍ종병영업 경험자, ETC 마케팅팀 2년 이상 리딩 경험자가 있다.
의약품 제형 개발 연구, 의약품 분석 연구, 서방형 이식제 및 마이크로니들 제형 연구, GMP 및 CTD 문서 작성 업무 등을 담당한다. 학사 학위 이상 취득자로 화학ㆍ약학ㆍ생명공학 등 관련학과 전공자, 연구소 또는 품질관리 경력 1년 이상이어야 한다. 우대 사항에는 석사 이상 학위 취득자, 영어 능통자가 있다.
신약후보물질 발굴 및 효능ㆍ기전 연구, in vitro 및 in vivo 실험 설계 및 분석 연구, 비임상 안전성 및 유효성 평가, 정부지원사업 수행 및 관리, 글로벌 협력사업 수행 및 관리 업무를 담당한다. 생명과학ㆍ약학ㆍ바이오 관련 학과 전공자로 석사 학위 이상 취득해야 한다. 제약회사 경력 및 신약개발 경험 1년 이상 보유한 사람으로 영어 능통자를 우대한다.
의약품 전 주기 안전성 관리, 국내외 안전성 정보 수집ㆍ평가ㆍ보고, Safety Database 관리, PV Audit, PV SOP 제ㆍ개정 업무를 담당한다. 약학ㆍ생명과학ㆍ간호학 등 관련 계열 전공자로 학사 이상 학위 소지, 경력 3년 이상 보유해야 한다. 우대 사항에는 약사, 외국어 능통자가 있다.
관련기사
- [경력채용] 인허가, 품질보증·관리, 연구, 사업개발, 마케팅
- [경력채용] 보령, 대웅, 메디톡스, 에스티팜, 마더스제약, 국제약품
- [경력채용] 대웅, GC녹십자, 셀트리온제약, 종근당바이오, 하나제약
- [경력채용] 삼바, 대웅제약, 휴온스, 한국프라임제약, 동광제약, 뷰노
- [경력채용] 대웅제약, 보령, 동아제약, 유영제약, 에이비엘바이오
- [채용 원픽] 셀트리온, 유럽간판·글로벌라이언스(~7/22일)
- [경력채용] 동아제약, 알보젠코리아, 삼천당제약, 유영제약, 아미코젠
- [경력채용] 동국제약, 유나이티드제약, 에스디바이오센서, 익수제약
- [경력채용] 대웅제약, 메디톡스, 환인제약, 대웅바이오, 경보제약
- [경력채용] 한국콜마, 종근당바이오, SK바이오팜, 코오롱생명과학
- 한림제약, 유방 병변 표지자 '루미노마크' 심포지엄 마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