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사 집단휴진 철회 및 재발방지법 제정 환자촉구대회
"촉구안에 대한 수용·이해 없다면 대한민국 미래도 없을 것"

한국환자단체연합회, 한국유방암환우총연합회, 한국희귀·난치성질환연합회는 4일 오전 서울 종로구 보신각 앞에서 경찰 추산 400여 명의 환자와 환자 가족이 참석한 가운데 '의사 집단휴진 철회 및 재발 방지법 제정 환자촉구대회'를 개최했다.
4일 환단연에 따르면, 행사에서는 △서이슬 한국 PROS 환자단체 대표 △소양순 한국유방암환우총연합회 서울지부장 등이 나서 촉구문을 낭독했다.
이들은 △세브란스병원ㆍ고려대병원ㆍ서울아산병원 등의 무기한 휴진 철회 △상급종합병원의 전문의 중심 병원 전환으로 전공의 수련환경 개선 △의료인 집단행동에 대비한 필수 의료 공백 방지 관련 법률 입법 등을 요구했다.
첫째, 환자에게 고통과 불안을 전가하는 세브란스병원·고려대병원·서울아산병원의 명분 없는 무기한 휴진을 철회하라.
둘째, 정부는 상급종합병원을 전문의 중심 병원으로 전환하고 전공의 수련환경을 획기적으로 개선하라.
셋째, 추후 이와 유사한 의료인 집단행동이 발생할 때를 대비해, 의료인 집단행동 시에도 응급실·중환자실·분만실 등 생명과 직결된 필수의료는 단 한시도 중단 없이 제공되도록 국회는 관련 법률을 입법하라.
또한 환단연은 오늘 보신각에 모인 환자와 환자가족 그리고 국민은 전공의·의대교수에 대해 아픈 사람에게 피해와 불안을 강요하는 무책임하고 몰염치한 행태를 지금 당장 중단할 것과, 대한민국 정부에 상급종합병원을 전문의 중심 병원으로 전환하고 전공의 수련환경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것, 국회에 대해 생명과 직결된 필수의료 종사자의 집단행동 재발 방지법을 신속히 입법할 것을 촉구했다.
환단연은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은 대한민국 국민의 권리다. 어떤 일이 있어도 아픈 사람에 대한 의료 공급이 중단돼서는 안 되며, 의료 공급이 중단될 수 있다는 신호로 불안을 조장해서도 안 된다"고 말했다. 이어 "위 세 가지 촉구안에 대한 수용과 이행이 없다면, 대한민국의 미래도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 환자단체, 의사 집단휴진 철회 요구 대규모 집회 연다
- 환단연, 온라인 피켓팅으로 의료계 휴진 결정 철회 촉구
- 환자들, 휴진 참여하지 않는 의사들에 감사 피케팅
- 92개 환자단체, 4일 의사 집단휴진 철회 촉구 대규모 집회
- 정부, 의대증원 재논의 등 불수용...의사협회 18일 전면 휴진
- "환자 생명과 건강 위협하는 의료계 집단휴진 철회하라"
- "의료계 환자에 불안감 안겨 정부 압박하는 행보 그만둬야"
- "전공의 집단행동 100일, 의·정 갈등 장기화 피해는 환자 몫"
- 정부, 전공의 행정처분 철회...전문의 자격취득 수련특례도 마련
- "5% 미만에 그친 전공의 복귀율... 대체인력 마련필요"
- 중증질환연합회 "의료공백 1년에 환자 큰 피해, 해결책 없이 원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