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화항체 형성된 마우스서 항암 바이러스 효능 그대로 유지됨 증명
전이 모델서도 반복 정맥 투여 유효함 증명… 전반적인 세포 사멸 유도 관찰
신라젠은 서울대 의과대학 연구진(이동섭 교수)이 회사가 개발 중인 항암바이러스 플랫폼 'SJ-600' 시리즈의 연구 결과 2건을 미국암연구학회 연례학술대회(AACR 2024)에서 포스터 형태로 발표를 진행했다고 8일 밝혔다. 미국암연구학회는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디에이고에서 지난 5일부터 오는 10일까지(현지 시각) 개최된다.
AACR에서 서울대 의과대학 연구팀이 발표한 연구는 총 2건이다. 첫 번째는 SJ-600 시리즈의 반복 정맥 투여시 항암 효능을 백시니아 바이러스에 대한 중화항체가 형성된 면역적격(immunocompetent) 유방암 마우스 모델에서 평가하고, 종양 조직 내 면역학적 변화를 분석한 결과다. 기존 항암 바이러스는 중화항체가 형성된 마우스에서 항암 효능을 상실했지만, SJ-600 시리즈는 중화항체가 형성된 마우스에서도 변함 없는 항암 효능을 나타냈다.
또 종양 조직 내 세포 살상 T 세포의 침윤이 증가하고 활성화되는 항종양 면역 환경이 유도됨을 확인했다. 이 연구는 중화항체가 충분히 형성된 마우스에서 항암 바이러스의 효능이 그대로 유지됨을 증명한 것으로, SJ-600 시리즈 기술이 정맥 투여의 방식으로 종양 완전관해까지 반복적으로 투여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회사 측은 전했다.
두 번째는 SJ-600 시리즈가 정맥 주사를 통해 원발암뿐만 아니라 전이암에도 효과적으로 전달, 항암 효능을 나타내는지 평가하는 연구다. 연구진은 간 전이 대장암 모델을 대상으로 SJ-600 시리즈의 반복 정맥 투여를 통해 종양 성장이 억제됨을 입증했다. 특히 SJ-600 시리즈 항암 바이러스는 정맥 투여 다음 날부터 모든 전이된 종양 조직의 전반적인 세포 사멸을 유도함을 관찰했다.
기존의 전형적인 표재성 고형암이 아닌 전이 모델에서도 SJ-600 시리즈의 반복 정맥 투여가 유효함을 증명한 상당히 고무적인 결과라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 신라젠 관계자는 "이번 서울대 의과대학 연구진의 SJ-600 시리즈 연구 결과는 중화항체의 영향을 받지 않고 전이암까지도 정맥 투여로 강력한 항암 효과를 볼 수 있음을 입증한 의미 있는 결과로 볼 수 있다"며 "서울대 의과대학 연구진과 지속적인 협업을 통해 SJ-600 시리즈의 효능을 검증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에 발표한 SJ-600 시리즈는 'SJ-650'이다. SJ-650은 신라젠의 정맥 주사형 항암 바이러스 플랫폼 기술인 SJ-600 시리즈를 기반으로 개발한 파이프라인이다. 기존 기술보다 종양세포 살상 능력이 탁월하고, 적은 용량으로도 월등한 항암 효능을 보인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고 회사 측은 밝혔다.
관련기사
- 신라젠 SJ-600연구 결과 2건 미국암연구학회 발표 채택
- 이동섭 교수, 신라젠 'SJ-600' 활용 암백신 가능성 제시
- 신라젠, 'SJ-600' 플랫폼 CRD 초청 발표
- 신라젠, 차세대 파이프라인 'SJ-600 시리즈' 국제 학회 초청
- [HIT알공] CG인바이츠, '마카온바이오테라퓨틱스' 합병 결정
- 국내 기업들 AACR서 주요 파이프라인 '비임상 결과' 발표 활발
- 오에스알홀딩스, 신라젠과 혁신신약 공동개발 협약
- 신라젠·연세대 송당암연구센터, 항암제 BAL0891 공동연구
- 신라젠 "리드코프, 유상증자 참여지분 안팔기로"
- 신라젠, 바이오 USA서 파트너사 리제네론 등과 미팅
- 신라젠·큐리에이터, 항암제 'BAL0891' 공동 연구 계약
- 신라젠-레이테라, 항암 바이러스 플랫폼 CDMO 계약 체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