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용량 병용투여군, 비교 대조군보다 치료 효과 3배 이상 우수
상하이헨리우스바이오텍, 미국임상종양학회서 임상 2상 중간 결과 발표
앱클론(대표 이종서)이 상하이헨리우스바이오텍(이하 헨리우스)에 기술이전(L/O)한 'AC101(헨리우스 개발코드명 HLX22)'의 위암 임상 2상 중간 결과가 글로벌 학회에서 공개됐다.
앱클론은 18일(현지 시각) 헨리우스가 미국임상종양학회(ASCO) 소화기암 심포지엄인 'ASCO GI'에서 HLX22 임상 2상 중간 결과를 발표했다고 밝혔다. HLX22는 HER2 양성 위암 환자 대상 1차 치료제로써 전체 53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 2상을 진행 중이다. HLX22의 임상 2상 중간 결과 내용에 따르면, HER2 양성 국소 진행성ㆍ전이성 환자를 대상으로 현재 사용되는 표준 치료제 'HLX02(허셉틴 바이오시밀러)+XELOX' 투여 요법보다 HLX22까지 병용 투여했을 때 더욱 뛰어난 치료 효능을 보였다.
이번 임상은 △HLX22 저용량 병용투여군(15㎎/㎏) △AC101 고용량 병용투여군(25㎎/㎏) △비교 대조군 등 3개군으로 나눠서 진행됐다. 회사는 투여 후 48주에 측정된 객관적 반응률(ORR)은 저용량군에서 58.8%, 고용량군에서 38.9%, 비교 대조군에서 16.7%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특히 저용량군에서 비교 대조군보다 치료 효과가 3배 이상 우수한 것이 관찰됐다.
또 무진행 생존기간(PFS)의 중간값은 비교 대조군에서 8.2개월을 보인 반면, 고용량군에서 15.1개월을 보였으며, 저용량군에서는 아직까지 중간값에 도달하지 않은 것으로 분석돼 우수성이 확인됐다. 아울러 약물 치료 후 종양이 다시 커지기 전까지 반응이 지속되는 기간인 종양반응기간(DOR)도 비교 대조군에서 6.8개월, 고용량군에서 12.4개월, 저용량군에는 중간값에 도달하지 않아 AC101 병용투여에 대한 효능을 보였다.
앱클론 관계자는 "우리 회사에서 개발한 AC101(HLX22)은 HER2를 대상으로 하는 위암 항체치료제로, 허셉틴 항체와 병용시 효과가 뛰어나 HER2 양성 위암에서의 1차 표준치료제로서의 가능성을 확고히 보여주고 있다"며 "특히 헨리우스는 자사가 개발한 허셉틴 바이오시밀러와 AC101의 병용요법을 통해 치료 효과를 극대화하는 것은 물론, 시장에서도 높은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앱클론, AHS2023에서 유전자가위 이용한 난치암 CAR-T 치료제 발표
- 앱클론, CAR-T 치료제 'AT101' 임상 1상 결과 국제 학술지 발표
- 앱클론, 난치성 전립선암 신약 후보물질 'AM109'…KDDF 과제 선정
- 앱클론, CAR-T 치료제 'AT101' 임상 2상 개시 모임 완료
- 앱클론, 미국혈액학회서 'AT101'와 신규 타깃 CD30 CAR-T 발표
- 앱클론, 美 암연구학회서 후보물질 'AT501·AM105' 연구결과 공개
- '항암제 올림픽' ASCO서 깃발 꽂은 K바이오…"임상 데이터 발표"
- 앱클론, CB·제3자유증 310억 유치… CAR-T 치료제 2상 집중
- 앱클론, 190억 규모 CB·제3자배정 유상증자 납입 완료
- 앱클론 기술이전한 'AC101', HER2+ 위암 환자 생존율 향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