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합성으로 구분됐던 팀 체계, 비만대사·면역항암·표적항암 팀으로 나눠
"기술간 경계 허물고 질환 중심으로 시너지 극대화할 것"

한미약품 연구센터 전경 / 사진=한미약품
한미약품 연구센터 전경 / 사진=한미약품

한미약품(대표 박재현)은 세계적으로 의학적 미충족 수요(Medical Unmet Needs)가 큰 질환을 중심으로 치료제 개발에 더욱 속도를 높일 수 있도록 연구개발(R&D)센터 조직을 개편했다고 20일 밝혔다.

한미약품에 따르면 임주현 전략기획실장과 최근 부임한 최인영 R&D센터장이 주도한 이번 조직 개편은 기술 융합과 시너지 극대화에 방점이 찍혔다. 회사는 올해 창립 50주년을 맞아 지속가능한 100년 기업을 준비하는 새로운 미래 성장동력으로 '비만대사'와 '면역항암', '표적항암' 분야에 집중하기로 했다.

또 그동안 개발 과정에서 다소 불투명한 역할이 부여됐던 부서들을 △전임상 연구 △임상이행 △항암기전 분석팀으로 나눠 연구의 회색지대를 없애고, 연구원들간 협력과 소통 그리고 속도감이 있는 R&D를 실현할 수 있도록 했다.

한미약품은 특히 최근 본격화한 회사의 비만대사 프로젝트인 'H.O.P'를 전담할 비만대사팀을 신설하고, 비만 예방과 치료·관리를 아우르는 혁신적 신약들을 빠르게 개발해 나가기로 했다. 단순히 체중 감량을 목적으로 하는 비만 치료가 아닌, 비만을 만성질환의 근본 원인으로 정의함으로써 제약기업 본연의 목적인 '인류의 더 나은 삶'을 향한 R&D 행보에 더욱 박차를 가하겠다는 의미라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현재 한미약품은 비만대사·희귀질환·항암 등 분야에서 30여개 혁신신약 파이프라인을 가동하고 있다. 이 중 MASH(대사이상 지방간염) 혁신 치료제로 개발 중인 '에피노페그듀타이드'는 미국 머크(MSD)가 글로벌 임상 2b상을 진행 중이다. 또 3중작용 치료제인 '에포시페그트루타이드'는 IDMC(독립적 데이터 모니터링 위원회)의 지속 개발 권고에 힘입어 한미약품이 자체 개발하고 있다.

아울러 회사는 희귀질환인 단장증후군 치료제 및 선천성 고인슐린혈증 치료제에 있어서도 세계 환우들과의 네트워킹을 강화하며 R&D에 집중하고 있다. 이와 함께 급성골수성백혈병(AML) 치료제인 '투스페티닙'은 파트너사 앱토즈가 최근 혁신 잠재력을 확인한 연구결과를 잇따라 발표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북경한미약품이 개발해 한미약품과 공동 개발에 들어간 이중항체 플랫폼인 '펜탐바디' 기반의 면역·표적항암제도 글로벌 임상에 착수했다. 더불어 새로운 면역조절 항암제도 내년을 기점으로 글로벌 임상 개발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한미약품은 자사의 새로운 모달리티로 선정된 세포유전자치료제(CGT)와 메신저 리보핵산(mRNA) 기반 항암 백신, 표적 단백질 분해(Targeted protein degradation·TPD) 약물 등 R&D 잠재력을 배가할 수 있는 신규 연구 과제에도 역량을 집중할 계획이다.

최인영 한미약품 R&D센터장은 "급변하는 헬스케어 분야의 글로벌 기술에 빠르게 대응하고, 세상에 없는 혁신을 창출하기 위해서는 각 분야 전문성을 보유한 연구원들간의 협업과 소통, 건강한 경쟁이 필수라고 판단했다"며 "이번 조직 개편은 기술 간 경계를 허물고 융합과 시너지를 통해 100년 기업 한미약품을 세우는 탄탄한 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AD 실시간 제약시장 트렌드, 데이터로 확인하세요. 제약산업을 읽는 데이터 플랫폼 BRP Insight

관련기사

저작권자 © 히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