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아산병원 김태원 교수, ESMO서 'HM-RAFI-103' 연구결과 구연 발표
치료제 없는 BRAF ClassⅡ/Ⅲ변이 고형암서 병용요법 통한 혁신 가능성 제시

한미약품은 지난달 20일부터 24일까지(현지 시각) 스페인 마드리드에서 열린 유럽종양학회(ESMO Congress 2023)에서 BRAF ClassⅡ/Ⅲ 변이(특히 BRAF fusion/Indel 변이) 환자군에 '벨바라페닙'과 '코비메티닙' 병용 투여시 항종양 효과에 대한 임상 1b상 연구(HM-RAFI-103) 결과를 서울아산병원 암병원장 김태원 교수 구연으로 발표했다고 6일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는 총 133명의 RASㆍRAF 유전자 돌연변이가 있는 여러 고형암 환자 중 BRAF 융합/삽입ㆍ결손(fusion/Indel) 등 변이가 확인된 15명 환자(흑색종, 비소세포폐암, 대장암)에 대한 서브 코호트 분석 내용이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이 서브 코호트의 객관적 반응률(Overall Response RateㆍORR)은 67%(15명 중 10명), 질병 조절률(Disease Control RateㆍDCR)은 93.3%, 반응지속시간(Duration of ResponseㆍDOR)의 중간값은 12개월, 무진행생존기간(Progression Free SurvivalㆍPFS)의 중간값은 13.7개월로 확인됐다.
김태원 교수는 발표에서 "현재 BRAF ClassⅠ 변이에 대해서는 승인된 치료제가 있지만, BRAF ClassⅡ/Ⅲ 변이에서는 치료약이 없다"며 "BRAF ClassⅡ/Ⅲ 변이를 타깃하는 벨바라페닙은 코비메티닙과 병용 투여했을 때 흑색종과 폐암, 대장암 등에서 BRAF fusion/Indel 변이가 있는 환자에게 명확한 효과를 보였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이어 "벨바라페닙이 치료제가 없어 고통 받는 환자에게 반드시 필요한 신약으로 개발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한미약품 관계자는 "벨바라페닙의 효능을 더욱 확고히 입증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를 지속적으로 추진할 것"이라며 "암으로 고통받는 환자들을 위한 혁신 치료제를 빠르게 상용화해 인류의 더 나은 삶을 위해 존재하는 제약기업 본연의 사명을 다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ESMO는 유럽 최대 규모로 열리는 암 관련 학회로, 미국임상종양학회(ASCO), 미국암학회(AACR)와 함께 세계 3대 암 학회로 꼽힌다.
한미약품이 최초로 개발한 벨바라페닙은 세포 내 신호전달을 매개하는 '미토겐 활성화 단백질 키나아제(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sㆍMAPK)' 경로 중 하나인 RAF 및 RAS를 억제하는 경구용 표적항암제다. 지난 2016년 9월 로슈그룹 소속 제넨텍에 9억1000만 달러 규모로 기술수출됐다. RAF와 RAS는 각각 3개의 아형(ARAF, BRAF, CRAF / HRAS, KRAS, NRAS)으로 이뤄져 있는데, 이들에서 변이가 발생하면 암이 유발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BRAF 및 KRAS, NRAS 돌연변이는 다양한 암을 유발하는 원인으로 파악되고 있다.
관련기사
- [허가/임상] 한미약품 '아스피린+PPI' 첫 복합제 허가
- "세계 헬스케어 전문가들, 한미약품 바이오플랜트 견학…칭찬 일색"
- 가슴 먹먹한, 마드리드에서 날아온 두 장의 사진과 기립박수
- 한미약품, 3분기만에 1조 클럽 '찜'…"역대 최대 실적"
- 한미약품 "AML 신약물질 '투스페티닙' 완전관해 등 확인"
- 한국 제약바이오산업을 일깨운 '한미약품의 항해'는 계속된다
- K제약바이오, ESMO 총출동… "파이프라인 임상 데이터 공개"
- 한미약품, 암 유발 유전자 돌연변이 표적 신약 후보물질 공개
- 한미약품, 면역항암학회서 'HM16390' 악성 종양 완전관해 등 발표
- 한미약품, R&D 조직 '질환' 중심 개편…기술융합 시너지 방점
- 한미약품, 협력업체와 '상생의 길' 모색…동반 성장 의지 다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