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된다지만 정산율은 모른다? 유통업체 거절 움직임
제조번호별 책임 소재·낱알반품 기한 등도 고민거리

#. 지역에 있는 A 약국은 최근 대한약사회가 진행중인 반품사업에 따라 반품 관련 시스템에 입력한 뒤 28일부터 시작되는 반품일정에 맞춰 제품을 유통업체에 전달하기로 했다. 마침 찾아온 해당 유통업체 직원과 '운 좋게' 이야기를 나눴다.
하지만 반품하려는 곳 중 몇 곳은 수거를 해도 실제 정산까지는 시간이 걸릴 수 있다는 답변이 들아왔다. 협상은 됐지만 실제 일부 회사의 경우 정산율이 확정되지 않아 반품을 해도 그 금액이 얼마인지는 결과가 나와야 안다는 다소 황당한 답변을 받았다.
일부 혼선으로 잠시 중단됐다가 수거를 시작으로 다시 움직이게 될 대한약사회 반품 정산사업을 두고 약국가와 일부 유통업체 사이에서 불만이 나오고 있다.
반품 여부가 확정됐지만 낱알 반품 시간이 맞지 않거나 정산비율이 확정되지 않아 제품을 수거해도 약국이 정산을 받을 수 없는 상황이 생기고 있는 것인데 약국은 약국대로, 제품을 정산율 확정 전까지 들고 있어야 하는 유통업계는 유통업계대로 불만이 감지되고 있다.
약국가 및 유통업계 등에 따르면 최근 약사회의 '약국 불용재고의약품 반품사업'과 관련한 정산율과 대상 제약사 등을 두고 그 수가 적거나 수거 이후에도 제대로 정산이 불가능한 상황이 만들어지며 당초 예상보다 적은 수준의 반품이 진행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제일먼저 제기되는 불만은 정산 여부가 확인됐지만 실제 정산비율이 확인되지 않은 경우다. 모 지역의 경우 당초 약사회가 진행하기로 했던 120여 곳의 제약사 가운데 1차 수거가 진행되는 곳은 80개 뿐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품은 확정됐지만 가장 중요한 정산율이 정해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 같은 불만은 지난 2월부터 업계에 팽배했다. 약사회가 지부 등에 보낸 정산율이 실제 회사의 정산 비율보다 높게 나오는 등의 이유로 '회사가 굳이 평소보다 높은 정산율로 참가하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이유가 나왔던 것이다.
더욱이 정산 문제가 해결이 되지 않은 곳이 있어 약국이나 유통업체 등도 정산율이 확정된 곳을 기준으로 주마다 나눠 진행하기로 한 지역약사회가 많았었다. 결국 지역약사회와 각 유통업체 등이 해당 내용을 직접 확인해 정산 등을 검토했고 이로 인해 제품을 수거하지 않기로 한 반품리스트 제외 제약사도 생겼다. 여기에는 국내 제약사는 물론 블록버스터를 다수 보유한 다국적 제약사도 다수 있다.
다른 불만은 실제 약사회가 제시한 일정이 다국적사 반품 일정과 조율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이번 반품에서 약국가들이 특히 중요하게 여겼던 것 중 하나가 바로 낱알 반품이다. 일부 회사의 경우 낱알 반품이 매우 어려운 축에 속하거나 그 과정이 지난하다는 이유로 반품을 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는데, 이번 사업이 사실상 제품 포장을 열지 않은 이른바 '통반품'과 제품을 개봉한 '낱알 반품'까지 모두 진행되면서 약국가는 물론 유통업계까지도 그동안 나왔던 재고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던 상황이었다.
그러나 일정이 다르다보니 통반품을 받고 낱알 반품은 수거 후에도 낱알 반품때까지 제품을 쌓아두는 유통업체가 벌어질 수 있는 상황에 다다랐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 경우 유통업체는 약국에 반품에 따른 금액을 제공하지 못하는 경우가 벌어질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더욱이 판매원 문제가 정해지지 않은 일부 제품 제조번호(로트)의 경우는 회사들이 제품을 거절할 수밖에 없는 문제도 벌어질 수 있다고 업계는 말한다.
최근 가장 문제가 된 제품 중 하나가 다국적사의 모 요실금 치료제. 해당 요실금 치료제는 제품을 공급하는 오리지널사와 판매사, 허가권자 변경 후 품목 보유사 등 3개 회사가 존재한다.
오리지널사는 반품을 진행하기로 했지만 판매사와 변경 후 품목보유사는 사실상 반품에 비협조적인 것으로 알려졌다. 책임 소재가 명확하지 않으니 반품을 받아도 쌓아둘 수 없어 유통업체들도 제품 수거를 거절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이로인해 대한약사회가 사업 가능 여부를 밝힌 120여 개 제약사와 실제 수거가 가능한 제약사 사이에는 간극이 있다.
약국가와 업계에서는 반품 사업을 이렇게 진행하기보다 정비를 하고 세부 사항을 정리하면서 문제의 가능성을 정리하는 것이 필요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한 약업계 관계자는 "일부 지역약사회는 한 번 이상 수거를 진행하면서 반품 사업을 끌어가겠다는 입장이지만, 업계 입장는 아직 반품에 필요한 세부적인 일자와 손해가 해결될 만큼의 최소한 보상 문제가 해결되지 않았는데 정산 과정이 쉽게 이뤄질 수 있을 지 반신반의하는 이들이 많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세부 사항이 조율되지 않으면 결국 (반품사업에서) 회사 중 일부가 계속 제외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밖에 없다"며 "번갯불에 콩 구워먹듯 하는 사업이 양 측에(약국과 유통업체 모두에게) 실효성 있게 다가갈 수 있을 지 고민해야 한다. 지금까지 고민이 없는 듯 하다"고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