낱알 반품 꺼리는 제약사... 유통으로 이어지는 거부
"지금이라도 해결 못하면 기준을 마련해야" 지적도

약사회 의약품 반품 사업이 지역별로 수거 단계에 접어들며 곳곳에서 정산 문제가 불거지고 있다.
약국가 및 유통업계 등에 따르면 최근 지역별 반품 과정에서 수거 문제로 유통업체들이 제품 수거를 거부하고, 수거한 제품을 반납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가장 대표적 사례가 바로 포장단위 외 제품의 정산 문제다. 당초 낱알 반품이 진행된다고 알려온 지역 약사회 등과 다르게 실제 제약사로부터 단위 외 규격에는 반품을 진행하지 않는다는 답변이 돌아오며 반품 자체가 거부되는 상황이다.
국내 주요 제약사 A사는 자사 제품 중 30정 단위 제품이 있을 경우 반품 수량이 45정이라고 가정하면 제품 단위 하나(30정)는 수거 가능하지만 나머지 15정은 '나중에 따로 반품을 받겠다'며 받아주지 않는 상황이다.
실제 일부 제품 수거가 거부된 약국의 경우 30정 들이 제품에서 2정이 모자라다는 이유로 반품을 받을 수 없다는 답변을 들은 상태다.
제약사들이 포장 단위 기준으로 제품의 정산 비율을 계산했던 탓에 나머지 제품은 정산 자체가 어렵다는 입장을 밝히고 있다.
그나마 적은 단위는 다행이지만 약국가에서 많이 사용되는 품목 중 500정 혹은 1000정 단위의 대용량 포장의 경우 문제가 더 심각하다. 실제 해당 제약사의 1000정 들이 제품 중 900정이 남아있다면 해당 반품이 거절돼 이 수량 전체를 약국으로 다시 돌려보내는 상황마저 빚어지고 있다.
그렇다고 다른 약국의 재고를 더해 기준을 맞추고 정산한 뒤 나머지 약을 보내기도 어려운 노릇이다. 그만큼 약국에서 들어오는 수량이 많아 하나하나 모든 낱알을 확인해 가며 '몇 대 몇' 비율로 금액을 정산하기는 현실적으로 쉽지 않기 때문이다.
지방 모 약국은 특정 제약사 제품 중 약 80%가 반품을 거부당하는 사태까지 벌어졌다는 이야기가 나돈다.
원인은 반품 의사를 밝힌 제약회사 중에도 낱알 반품의 세부적 기준에서 낱알 반품 기준을 협상과정에서 명확히 하지 않은 회사가 많기 때문이라고 업계는 말한다. 또다른 국내 제약사 B는 대한약사회 반품 사업에 참여 의사를 밝혔지만 세부 낱알 반품 기준은 명확히 하지 못해 내부적으로 '낱알은 향후 진행'이라는 원칙을 정해놓은 바 있다.
약국가는 낱알 반품이 원활히 진행될 것이라는 믿음을 가지고 유통업체에 전달하지만 정작 유통업체에는 낱알은 나중에 하자는 이야기가 나오면서 단위 미달 제품의 수거가 이뤄지지 못하게 된 것이다.
문제는 수거 초 단계인 상황에서 이른바 통반품을 원하는 제약사의 수가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현재 각 지역마다 그 수는 다르지만 수십여 개에서 많게는 100개 이상 제약사를 대상으로 불용의약품 수거가 진행중인데 앞으로 이같은 사례가 이어진다면 대한약사회가 목표로 제시했던 반품 정산율은 물론 사업 자체의 실효성도 떨어질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한 약업계 관계자는 "일부 외자사는 이번 반품에서 통반품만을 요구하고 있고 국내 제약사에서 낱알을 미루자는 이야기가 나오는 것으로 안다"며 "만약 이들 제품이 정상적으로 반품되지 않는다면 약국에서 기대했던 정산금액은 물론 약국에서 정리할 수 있는 품목의 수도 크게 줄어들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작은 약국의 낱알도 문제지만 큰 약국의 경우 반품 정산에 따른 금액 차이가 더욱 커질 수 있어 문제가 해결될 것같지 않은 만큼 지금이라도 세부 협상을 진행해야 한다"며 "약사회가 세부 기준을 서둘러 마련해야 한다"고 전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