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사마저 낱알 반품 기준 미확정으로 거부 사례 여전
합산·일정 당기기도 어려워…추가 논의 지속 필요 목소리

정산을 희망하는 약국, 창고에 물건만 쌓아 둬야하는 유통, 스케쥴을 어길 수 없는 제약회사까지 의약품 반품 사업의 디테일 문제가 누적되고 있다.
최근 업계에 따르면 지역약사회 별로 진행하고 있는 불용 재고약 반품 사업과 관련해 유통업체들이 제품을 수거하고 있는 가운데 낱알 반품을 모른체하는 제약회사들이 나타나고 있다.
매출기준 상위사인 H사, J사, D사 등이 비협조적인 곳으로 도드라지지만, 이들 외 더 많은 회사들이 같은 입장을 취하고 있다. 매출 상위권 다국적사 상당수와 일부 일본계 제약사도 다를 바 없는 상황이다.
갈등의 소지는 낱알 반품이다. 수량이 맞지 않을 경우 '나중에 따로 공지하겠다'며 포장 단위 외 제품을 받지 않는 사례가 이어졌다. 포장단위가 100정인 경구제인데 140정이 남을 경우 40정은 수거 및 정산을 진행할 수 없게 된다. 만약 190정이 남아있다면 90%에 해당하는 금액 전체가 반품 제외되는 식이다.
당장은 분류 작업을 비롯해 유통업계가 처리해야 하는 실무만으로도 힘들어 손을 놓고 있지만 상반기 약국 정산까지 고려하면 부담은 점점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수도권 한 유통업체 관계자는 "어느 제약사, 어떤 품목의 수량이 모자랄 경우 어떻게 처리할 것인지 디테일 처리 규정을 명확히 했어야 했는데, 시행부터 해놓으니 유통업체들은 물건을 받아놓고 기다리는 일이 벌어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제약사도 약사회 사업에 동참은 한다고 했으나 세부 내용이 논의되지 않은 채 반품을 받다보니 기존 반품 및 정산 스케쥴에 맞추지 못한 내용이 있다고 이 관계자는 설명했다.
다른 유통업계 관계자는 "당장 문제가 될 만한 사항이 아니니 그러려니 하는 것이겠지만 정산 문제가 본격적으로 다가오면 약국가에서 불만이 나올 수 있어 추가 논의의 필요성이 있다"며 "다만 실무자 간 접점이 없는데다 약사회도 다른 이슈가 많아 문제해결을 위한 논의가 쉽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