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부-약사회, '통합약사' 시각차 확연

편의점약 논란 협의체와 연계 안할듯
약계현안을 논의할 '약정협의체' 구성이 탄력을 받고 있다. 대한약사회 정책건의서가 논의의 출발점이 될 전망인데, 이중에는 의약품 장기품절 대책도 포함돼 있다.
반면 논란이 큰 안전상비의약품 확내논의는 약정협의체에 연계시키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정부가 관심을 갖고 있는 통합약사 논란의 경우 약사회가 손사래를 치고 있어서 역시 안건에 포함되기는 쉽지 않을 전망이다.
보건복지부 관계자는 8일 전문기자협의회 소속 기자들과 만나 "약정협의체 운영 필요성이 표면화된 만큼 최대한 빨리 논의를 시작할 예정이다. 약사회가 앞서 건의한 내용에 공감되는 부분이 많다. 조만간 약사회 실무진을 만나 현안을 정리하는 사전 작업을 거칠 것"이라고 말했다.
약사회 건의는 김대업 집행부가 최근 복지부에 제출한 '국민과 함께하는 정책건의서'를 지칭한다.
건의서에는 ▲의약품 장기품절 대책 ▲전문약에 대한 사회적 책임 분담 및 정부역할 강화 ▲장기처방약 처방조제 방식 개선 ▲보건의료 공공사업의 약사·약국 활용 증대 ▲불법·편법 약국 개설 근절 방안 ▲약국 조제료 차등수가제 지출의 공공성 강화 ▲전문약사 제도 활성화 ▲약학 교육 평가·인증 관리체계 마련 등이 담겨져 있다.
현재 7차 회의 이후 답보상태인 안전상비의약품 품목조정 논의는 약정협의체와 연계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차기 회의일정도 불투명한 상황이다.
'통합약사' 논의의 경우 복지부 측은 협의체 운영 아젠다로 제안하려고 하지만 약사회가 신중한 입장이어서 논란소지를 안고 있다. 약사회 측은 현재 만연한 한약사의 일반약 판매 원천 금지대책 마련이 선행되고, 약사회원들 사이에서 공감되가 형성된 이후에나 통합약사 논의가 가능하다는 입장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