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복지위 국정감사]
이수진 의원, "병의원 처방 매뉴얼 제공...제약사 대상 약사감시 필요"

더불어민주당 이수진 의원
더불어민주당 이수진 의원

비만율은 남성이 여성보다 2배나 높은데도 비만약 '위고비'의 임상 참가자 중 여성이 73%를 차지해 적정성 논란이 제기됐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이수진 의원은 위고비프리필드펜(이하 위고비) 임상시험 내용을 확인한 결과, 3상 임상 1단계에서 위고비 투여군 1306명 중 73.1%가 여성으로 나타났다고 21일 밝혔다.

이 의원이 제시한 질병관리청이 실시한 건강영양조사 결과를 보면,  2024년 기준 남성의 비만 유병률은 48.8%, 여성은 26.2%로 남성이 여성보다 약 2배 많았다.

그러나 비만치료제 임상시험은 비만율이 높은 남성보다 여성이 더 많이 사용할 것을 예상하고 이루어졌다는 게 이 의원은 지적했다.

병의원 현장에서 비만치료제가 오남용되거나 불법 거래되는 정황도 안전성 우려를 키우고 있다. 

이수진 의원이 제시한 임상시험 주요 내용에 따르면 노보 노디스크 제약(Novo Nordisk) 은 평균연령 46세, 평균체중 105.4kg, 평균 체질량지수(BMI) 37.8kg/㎡, 평균 허리둘레 114.6㎝의 초기 상태 환자를 대상으로 3상 임상시험 1단계를 진행했다.

그러나 병의원 현장에서 체질량지수(BMI) 30kg/㎡에 못 미치는 환자에게 위고비를 처방하거나, 온라인 불법거래를 통해 오남용하는 사례가 발생했다. 

식약처 제출자료를 보면, 지난해 온라인 불법판매 알선·광고로 적발된 비만약 사례는 522건으로 전년 대비 407% 증가했으며, 2024년 10월부터 2025년 6월까지 보고된 위고비 이상사례는 270건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수진 의원은 "위고비, 삭센다, 마운자로 등은 비만환자를 위한 치료제로 사용해야 한다"며 "병의원 처방에 제약업체가 자세한 매뉴얼 제공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식약처는 제약업체에 대한 약사감시를 실시해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히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