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을 HIT |
다인원 혜택 중요하지만 중증질환자 부담감 고려해야

첫 장기 비행, 첫 시차 경험 모든 행동에 처음이라는 단어가 붙었던 해외 출장을 마쳤다. 첫날은 기자실 위치도 헷갈려 선배 뒤를 쫓았지만 행사장을 돌아다니다 보니 한국 취재와 다를 게 없어 금방 익숙해졌다.
국내 의료진과 대화에서도 다른 국가와 달리 국내에서는 아직 허가·급여가 이뤄지지 않았다는 익숙한 내용이 빠지지 않고 언급됐다. 과연 언제쯤 저 질문에 '국내에서도 부담 없이 사용 가능하다'는 대답이 나올까 생각하게 됐다.
올해 세계폐암학회(WCLC 2025)에서 화제로 떠오른 치료 방법은 '치료제+항암화학요법' 병용요법이다. 환자의 생존 기간을 늘리고 내성을 줄일 수 있다는 여러 임상 데이터가 발표됐다.
국내에서는 환자들의 경제적 부담을 줄이기 위해 지난 6월부터 비급여 항암제를 병용요법으로 추가하더라도 기존 치료제의 급여는 유지될 수 있도록 했다. 하지만 치료제 자체가 고가일 경우 화학요법에 급여가 적용돼도 환자들의 부담과 치료 접근성은 변함이 없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현장에서 만난 한 교수는 "최대한 많은 사람에게 혜택을 주려다 보니 제한이 생긴 것 같다. 다만 중증질환자의 어려움을 줄일 수 있도록 제도적인 움직임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급여 얘기에는 한정된 건강보험 재정 이슈가 필수적으로 따라붙는다. 비중증 약에 적용되는 본인부담률을 높이는 등 고가약 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 근본적인 해결책이 제시되길 희망한다.
관련기사
방혜림 기자
hlbang@hitnews.co.kr
산업의 모든 어려움을 청취하겠다는 호기로움으로, 그 모두를 파고드는 호기심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