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AI 신약심사 정책과 맞물려 속도 높이는 제약사들
후보물질 발굴·검증·허가 문서까지 AI 적용

이재명 정부가 인공지능(AI)을 신약 심사 등 바이오헬스 분야에 본격 도입하겠다고 밝혔다. 이러한 정책 기조와 맞물려 국내 제약사와 바이오텍들도 AI 전문기업과 협력을 잇따라 확대하고 있다.
정부는 지난 22일 '새 정부 경제성장전략'을 발표하고 향후 5년간 AI를 중심에 둔 경제 대혁신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핵심 과제 중 하나는 'AI 신약심사 체계 구축'이다. 방대한 심사자료 대조·검증, 허가심사서 초안 작성, 영문 증명서 발급까지 AI로 자동화해 심사 기간을 단축하고, 제네릭 의약품부터 단계적으로 적용 범위를 넓혀간다는 계획이다. 또한 K-바이오와 디지털헬스케어를 결합한 글로벌 수출모델을 육성하고, 산학연병 거점 구축과 바이오파운드리 인프라 확충, 오가노이드·유전자치료제 연구개발을 통해 블록버스터 신약 창출을 지원한다는 방침도 담겼다.
제약·바이오 업계에서도 AI 협력 사례가 속속 이어지고 있다.
동아에스티는 연이어 협약을 체결하며 AI 활용 범위를 넓히고 있다. 가장 최근에 '그래디언트 바이오컨버전스'와 AI 기반 오가노이드 및 유전체 분석을 활용한 신약개발 초기 단계 공동연구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력으로 회사는 환자 유래 오가노이드(PDO)와 AI 기반 유전체 분석을 활용, 항암 및 뇌질환 신약 후보물질의 전임상 반응성을 검증할 계획이다. 동물실험의 한계를 보완해 임상 성공 가능성을 높이고, 신규 타깃 발굴 및 기전 연구를 병행한다는 전략이다.
또한 동아에스티는 AI 신약개발 기업 '크리스탈파이(XtalPi)'와 협력해 면역·염증질환 치료제 공동연구를 시작했다. 크리스탈파이의 AI·양자물리·로보틱스 융합 플랫폼을 활용해 신규 타깃을 발굴하고, 퍼스트 인 클래스와 베스트 인 클래스 후보물질 탐색을 가속화한다는 구상이다. 이로써 동아에스티는 오가노이드-유전체 데이터 기반 검증부터 글로벌 플랫폼 공동연구까지 다각적인 AI 전략을 전개하는 모습이다.
삼진제약은 AI 신약개발 기업 나무아이씨티와 비만치료제 공동연구 협약을 맺었다. 양사는 나무아이씨티의 AI 플랫폼 'DeiNon'과 삼진제약의 연구개발 역량을 결합해 체중 감량 효과와 근육 보존, 장기 복용 안정성까지 고려한 차세대 치료제 개발에 나선다. 삼진제약은 타깃 제안과 임상·허가를 총괄하고, 나무아이씨티는 후보물질 설계와 최적화를 맡는다.
SK바이오팜은 미국 피닉스랩과 업무협약을 맺고 생성형 AI '케이론'을 활용한 신약개발 자동화 솔루션 공동개발에 착수했다. 이 플랫폼은 문헌 검색, 데이터 처리, 보고서 작성, 규제 문서 준비를 AI가 처리하는 방식으로, 후보물질 발굴부터 허가까지 전 과정을 효율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삼일제약도 피닉스랩과 '생성형 AI 기반 제약사 맞춤형 솔루션 개발'을 위한 협약을 체결했다. 삼일제약은 연구개발 데이터와 임상 경험을 제공하고, 피닉스랩은 생성형 AI 모델과 데이터 분석 기술을 접목해 맞춤형 신약개발 솔루션을 구축한다.
대웅제약은 씨어스테크놀로지, 퍼즐에이아이와의 다자간 협력을 맺고 차세대 스마트병원 솔루션 개발에 나섰다. 음성인식 AI와 전자의무기록(EMR) 연동을 활용해 환자 데이터와 음성 기록을 자동 통합·분석하고, 의료진의 업무 효율을 높이는 실증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회사는 향후 디지털 헬스케어 기반 공공의료 혁신으로 확장될 수 있는 시도라고 평가했다.
온코크로스는 서울대학교병원과 협약을 맺고, 병원이 보유한 임상데이터와 자사 AI 플랫폼 'RAPTOR AI'를 결합해 암·희귀질환 타깃 발굴과 후보물질 도출에 나서고 있다. 환자의 임상 및 조직 데이터를 바탕으로 정밀성이 높은 신약개발 모델을 구축하는 것이 핵심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