칠레에 이어 도미니카공화국·니카라과·온두라스 등 연이어 허가

HK이노엔은 위식도역류질환 신약 케이캡이 콜롬비아를 포함한 중남미 6개국에서 품목허가를 획득했다고 2일 전했다.
케이캡정(성분명 테고프라잔)이 이번에 허가를 받은 중남미 국가는 △도미니카공화국 △니카라과 △온두라스 △과테말라 △엘살바도르 △콜롬비아 등 6개국이다. 현지명은 '키캡(Ki-CAB, 사진)'으로 정했다.
케이캡은 현재까지 중남미 18개 국가에 기술수출 또는 완제품 수출 형태로 진출했다. 지난 해 멕시코, 페루에 이어 최근 칠레에 출시됐고 연내 6개국에서 출시를 앞두고 있다.
HK이노엔과 브라질을 제외한 중남미 17개국 수출 계약을 체결한 파트너사 '카르놋(Carnot)'은 활발한 마케팅을 펼치며 중남미 시장에서 케이캡의 저변을 넓히고 있다.
양사는 그 일환으로 작년부터 한국과 중남미 현지에서 의료진 대상 학술대회를 열고 있다. 올해에도 멕시코와 콜롬비아 의료진이 한국에 방문해 멕시코의 위식도역류질환 치료 현황과 케이캡을 포함한 다양한 치료옵션, 케이캡 관련 치료 증례 등 최신 지견을 나눴다.
HK이노엔 곽달원 대표는 "중남미 시장의 수요와 긍정적인 반응을 토대로 케이캡의 중남미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내고 있다"며 "특히 이번 중남미 의료진과 함께한 학술대회를 통해 중남미 시장에서 케이캡에 대한 관심을 확인했으며, 앞으로도 중남미 지역 고객들을 위한 다양한 활동을 이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카르놋의 가이 션(Guy Jean Savoir) 회장은 "케이캡은 멕시코에 출시 된지 7개월 만에 멕시코 소화성궤양용제 10위권에 안착했고, 올해도 지속적인 성장으로 시장 5위권에 진입할 것으로 전망된다"며 "2025년까지 전체 계약 국가에 케이캡을 출시해 중남미 소화기 전문의약품 매출 1위를 달성하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 대웅제약, 펙수클루 '멕시코·에콰도르·칠레' 3국 출격
- 중남미 의약품청 신설, 국내 제약업계도 갈길 바빠지나
- 대웅제약 나보타, 세계 4위 아르헨티나 시장 진출
- P-CAB 3번째 국산신약 '자큐보', 이번주 약평위 상정 예상
- 이맛에 '코프로모션' 하지… '케이캡-카나브' 전년대비 '쭉'
- HK이노엔 DDW서 케이캡, 최신 연구결과 발표
- HK이노엔, 3세대 GLP-1 비만약 '임상3상 물질' 도입
- HK이노엔, 노바셀서 면역질환 신약 후보물질 도입
- '케이캡-카나브' 맞트레이드 효과 봤다, HK이노엔 3분기 매출 6% 성장
- HK이노엔 '케이캡', 이번엔 인도 허가 권고받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