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선민 연세암병원 폐암센터 교수 발표통해 공개
혁신신약 연구개발 기업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대표 이정규)는 내달 9일 싱가포르에서 개막하는 2023 세계폐암학회(IASLC 2023 WCLC)에서 4세대 비소세포폐암 치료 후보물질 BBT-176(개발코드명)의 임상 1상 후속 데이터 발표가 확정됐다고 30일 밝혔다.
공개된 초록에 따르면, 4세대 상피세포 성장인자 수용체 티로신 인산화효소 억제제(EGFR TKI)로 개발되고 있는 BBT-176의 제1상 임상시험 후속 데이터로서 △1일 2회 복용에 따른 BBT-176의 개선된 내약성 및 복약순응도 △변경된 1일 2회 용법 투약군에서 종양의 크기가 30% 이상 줄어든 부분관해(Partial Response·PR)를 나타낸 환자 사례 등이 새롭게 발표될 전망이다.
이번 임상 1상 후속 데이터는 내달 11일 오후 싱가포르 현지에서 진행되는 세계폐암학회 EGFR 및 HER2 표적치료제 세션에서 연세암병원 폐암센터 임선민 교수의 발표를 통해 공개될 예정이다.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 이정규 대표는 "현재 진행중인 BBT-176의 임상 1상의 확장 시험군을 조속히 마무리하고 미국 식품의약국(FDA)과의 임상 1상 종료 미팅을 통해 가속 승인의 가능성을 더욱 높이겠다"며 "4세대 EGFR 저해제 개발을 위한 전 세계 각축전에서 선두 개발 기업으로서 글로벌 기술이전 및 파트너십에 대한 성과도 조속히 선보일 계획"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 [HIT알공] 브릿지바이오, 60억 규모 제3자 유상증자 결정
- 브릿지바이오, 10월 국제 암 학술대회서 항암신약 포스터 2건 발표
- 브릿지바이오, 바이오USA서 기업 발표…주요 R&D 파이프라인 소개
- 브릿지바이오 "비소세포폐암 치료제, 美 FDA 임상 승인"
- 브릿지바이오, 美 AACR서 폐암 표적치료제 전임상 결과 포스터 발표
- 브릿지바이오, WCLC서 폐암 치료제 임상 1상 후속 데이터 발표
- 브릿지바이오, 폐암·안저질환 신약 후보물질 개발 중단
- '파이프라인 2건 개발 중단' 브릿지바이오, 성장통 딛고 일어설까
- 브릿지바이오 "연내 추가 자금 조달 없다…2025년까지 런웨이 확보"
- 브릿지바이오 "특발성 폐섬유증 신약, IDMC서 임상 2상 지속 권고"
남대열 기자
dynam@hitnews.co.kr
바이오헬스 산업 생태계를 이해하고 인사이트를 찾아내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