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테카바이오 '딥매처'와 폴라리스QB '쿼드' 플랫폼 협력
인공지능(AI) 신약 개발 전문기업 신테카바이오(대표 정종선)는 미국 폴라리스퀀텀바이오텍(Polaris quantum biotechㆍ이하 폴라리스QB)과 AI와 양자계산을 결합한 AI 신약 후보물질 발굴 서비스 제공을 위한 전략적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8일 밝혔다.
두 회사는 이번 MOU를 통해 자체 개발한 신약 후보물질 발굴 AI 플랫폼을 활용해 초기 유효물질(Hit) 탐색에 나선다. 각 플랫폼에서 도출된 다수의 초기 유효물질 가운데, 개발 가능성이 높은 약물 후보물질을 도출하는 서비스를 고객사에 제공할 예정이다.
폴라리스QB는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주에 위치한 양자컴퓨팅 기반 신약 개발 기업으로, 양자 어닐러(Quantum annealer)에 기반한 신약 후보물질 생성 플랫폼 '쿼드(QuADD)'를 보유하고 있다. 10의 30제곱의 거대한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는 것이 특징이며, 점차 양자컴퓨팅 기반의 응용을 넓히고 있다.
신테카바이오는 자체 클라우드 수퍼컴퓨팅 인프라 기반으로 신약 개발 전주기에 걸친 유전체 빅데이터 및 AI 신약 플랫폼 서비스를 준비하고 있다. 신약 개발 전주기에 필요한 유효물질 발굴부터 전임상까지의 서비스인 '딥매처 드럭 캔디데이트DeepMatcher Drug CandidateㆍDDC)'와 유전체 바이오마커 발굴 및 검출 서비스 등을 포함한다.
신테카바이오는 DDC 서비스의 선도물질 도출 단계에서 폴라리스QB의 쿼드(QuADD)를 적용해 선도물질 생성의 다양화를 꾀한다는 계획이다. 양사는 폴라리스QB의 양자컴퓨팅 기술과 신테카바이오의 AI 및 정밀의료를 결합한 플랫폼 기술의 장점을 활용해 협력할 예정이다. 또 미국, 유럽, 아시아 등 글로벌 네트워크를 활용한 공동 마케팅을 추진할 방침이다.
샤하르 케이난(Shahar Keinan) 폴라리스QB 대표는 "쿼드(QuADD)는 글로벌 시장에서 서비스가 가능한 양자역학 기반 플랫폼으로, 신약설계 부문에서 상용화된 제품"이라며 "신테카바이오의 클라우드 수퍼컴 인프라 및 유전체 기반 AI 플랫폼과 같이 신약 개발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빠르고 효율적으로 선도물질을 찾아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정종선 신테카바이오 대표는 "회사의 '딥매처'와 폴라리스QB의 쿼드(QuADD)가 협력해 신약 전임상 후보물질 발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돼 기쁘다"며 "이번 MOU로 마케팅 차원의 협력도 함께하게 된 만큼 글로벌 비즈니스 기회 확대에도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 신테카바이오, 바이오 USA서 'AI 신약 토털 솔루션 서비스' 공개
- 신테카바이오, AI 신약 토탈 솔루션 서비스 출시…바이오USA서 공개
- 신테카바이오-충남대병원, 백혈병 신생항원 발굴 연구성과 공개
- 신테카바이오, 바이오코리아서 'AI 신약 플랫폼' 스터디 결과 공개
- 신테카바이오, 데이터바우처 지원사업 공급기업 선정
- 신테카바이오, 벨기에 'PDC라인파마'와 환자맞춤형 암백신 공동연구
- 신테카바이오, 대전 둔곡에 'AI 바이오 슈퍼컴 센터' 준공
- 신테카바이오, 호주 의학 연구기관 'QIMRB'와 신약개발·상업화 MOU
- 신테카바이오, 건선·아토피·원형탈모 치료제 후보물질 특허출원 완료
- 신테카바이오, 코아스템켐온과 'AI 신약 개발 비임상 서비스' 협약
- "주가 급락 사유 전혀 없다" 신테카바이오, 근거 없는 루머 반박
- 'AI 신약 개발' 신테카바이오, 한국투자파트너스서 100억 투자받아
- 떠오르는 '양자컴퓨팅' 신약개발… 세계는 이미 가동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