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의료기관 루닛 솔루션 활용도 증가…B2G 사업 지속
의료 인공지능(AI) 기업 루닛 국립경찰병원(이하 경찰병원)과 흉부 엑스레이(X-ray) AI 영상분석 솔루션 '루닛 인사이트 CXR'의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고 21일 밝혔다.
경찰병원은 서울 동남권의 유일한 국립종합병원으로, 전국 경찰 및 소방 공무원들에게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공 의료기관이다. 경찰 가족과 일반인도 이용이 가능하다.
루닛 인사이트 CXR은 AI 기반 기술을 활용해 폐 결절, 폐 경화, 기흉 등 10가지 흉부질환을 판독해 의료진을 보조하는 소프트웨어(SW)다. 이번 계약에 따라 루닛은 향후 1년간 경찰병원에 루닛 인사이트 CXR을 공급해 경찰 및 소방 공무원을 비롯한 내원 환자들의 폐 질환 진단 보조에 활용된다.

루닛은 B2G(기업과 정부간 거래) 사업을 지속적으로 전개한다는 방침이다. 앞서 회사는 2019년 보건소를 시작으로 국군수도병원 및 연평부대 등 군 병원과 지방의료원에 매년 의료 AI 솔루션을 제공해 온 바 있다.
또 지난해 호주 뉴사우스웨일스(NSW)주 정부의 '유방암 검진 프로그램(BreastScreen NSW)' 입찰에서 운영권을 독점 획득한 이후, 올해에는 사우디아라비아 국가 전략 사업의 중심 과제인 'SEHA 가상병원' 프로젝트에 참여를 확정짓는 등 글로벌 공공의료 분야에서 B2G 사업을 적극 확장해 나가고 있는 상황이다.
서범석 루닛 대표는 "군인과 경찰 공무원은 단체 생활을 한다는 점에서 특히 폐 관련 질환이 흔히 발견되고 있다"며 "이들 공무원들이 안전하게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AI 기반의 선진화된 의료 서비스 제공에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루닛, 사우디 '비전 2030 SEHA 가상병원' 프로젝트 참여
- 뷰노·루닛 등 특허로 글로벌 시장 선점 나서는 국산 AI
- 루닛 AI 솔루션 적용 진단 S/W, 일본 보험급여 가산 대상
- 루닛, 잇단 해외 IR 행보…"글로벌 성과 가시화할 것"
- 루닛, 美 ASCO서 'AI 바이오마커' 직장암 치료 효과 예측 입증
- 의료 AI 전문기업 루닛 "영상·병리 AI로 암 정복 나선다"
- 80억원 매출 뷰노, 글로벌 진출 루닛… 돈 만지는 의료 AI
- 루닛 "美 가던트헬스서 기술료 13억 수령"
- 루닛, 日 ASCO서 'HER2 양성 대장암 치료 반응 예측' 연구결과 발표
- 의료 AI 기업, 국내외 병원과 'AI 솔루션' 공급 계약 활발
- 루닛, 상반기 매출 164억…"반기 최대실적 달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