캔서X " 프레스티지바이오 고유 표적물질. 캔서문샷 취지와 부합"
존슨앤드존슨, 제넨텍, 아스트라제네카 등 글로벌 제약사 참여 프로젝트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가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추진하는 암 정복 과제 '캔서문샷(Cancer Moonshot) 프로젝트' 구성원으로 선정됐다. / 사진=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가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추진하는 암 정복 과제 '캔서문샷(Cancer Moonshot) 프로젝트' 구성원으로 선정됐다. / 사진=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대표 박소연)는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추진하는 암 정복 과제 '캔서문샷(Cancer Moonshot) 프로젝트'에 참여하게 됐다고 18일 밝혔다.

회사 측에 따르면, 이 프로젝트의 공공·민간 협력기구인 '캔서X(CancerX)'는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의 자체 고유 표적물질 'PAUF 단백질 인자'에 기반한 췌장암 치료 생태계 구축 전략이 캔서문샷의 취지와 부합한다고 판단해 프로젝트의 멤버로 최종 선정했다.

지난 4월 미국 보건복지부(HHS)가 공개한 캔서문샷 프로젝트의 목표는 △암 예방 △암 조기 발견 △효과적인 치료법 개발 △불평등 해소 △최적의 관리 △모든 관계자 참여 △최대한의 데이터 활용 △인력 최적화 등 8가지이다. 주요 멤버로는 존슨앤드존슨(J&J), 제넨텍, 아스트라제네카, NCI, AWS, 인텔 등 글로벌 제약사를 비롯해 암 전문기관과 디지털 헬스케어 기업들이 있다.

향후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는 미국 정부의 지원과 캔서X 멤버들과의 네트워킹을 바탕으로 췌장암 항체신약 'PBP1510(개발코드명)'과 '췌장암 진단키트'의 개발 및 상용화에 더욱 속도를 올린다는 계획이다.

회사 관계자는 "이번 미국 캔서문샷 프로젝트 합류는 코스피 상장사이자 항체신약 개발기업으로는 국내 최초"라며 "이 프로젝트는 미국의 암 연구소인 모핏 암 센터(Moffitt Cancer Center)와 디지털의학학회(Digital Medicine Society·DiMe)가 설립한 캔서X가 주관하고 있는데, 디지털의학학회가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의 췌장암 고유 치료 표적물질 PAUF에 큰 관심을 보였고 이후 협의 과정을 거쳐 프로젝트에 참여하기로 결정됐다"고 밝혔다.

회사는 캔서문샷 프로젝트의 일원으로서 향후 혈중 PAUF 농도를 활용한 췌장암 진단, Anti-PAUF(PBP1510) 치료 및 예방요법까지 췌장암 치료 패러다임을 혁신하는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기로 했다. 또 췌장암을 조기 발견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진단키트를 신속하게 상용화시키기 위한 적극적인 홍보 기회로 삼는다는 전략이다. 

박소연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 대표는 "미국 캔서문샷 프로젝트의 캔서X 멤버 합류로 회사의 핵심 파이프라인인 PAUF 기반 췌장암 치료 패러다임이 미국 내에서 안정적인 지원과 협력 속에 연착륙할 수 있게 됐다"며 "지난 3월 미국 식품의약국(FDA) 패스트트랙 품목에 지정된 췌장암 항체신약 PBP1510의 빠른 상용화를 진행하는 한편, 고형암 치료제 'PBP1710' 등 다른 신약 파이프라인에 대한 기술적, 사업적 파트너십을 찾는 새로운 기회로 삼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는 췌장암 환자의 80% 이상에서 과발현되며 암의 진행과 전이에 결정적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는 PAUF를 중화해 췌장암을 치료하는 항체신약 PBP1510을 개발하고 있다. PBP1510은 지난 2020년 FDA를 비롯해 유럽의약품청(EMA)과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희귀의약품으로 지정된 바 있다. 현재 미국과 유럽에서 임상 1/2a상을 진행 중이며, 최근 미국 FDA 패스트트랙으로 지정됐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히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