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일 '한미 관세협상 후속 민관 합동회의'
R&D 투자 비용 연 6천억원 규모에서 내후년 1조원 이상으로 확대
"제약바이오 산업 규제 완화가 아닌 글로벌 기준에 맞춰야"

셀트리온 서정진 회장이 인천 송도, 충북 오창, 충남 예산 등 생산시설에 3년간 4조원의 시설 투자를 단행한다.
서정진 회장은 지난 16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한미 관세협상 후속 민관 합동회의'에서 국내외 생산시설 투자 계획과 향후 연구개발(R&D) 투자 비율 등 구체적인 회사 운영 방침을 공개했다.
서정진 회장은 "미국 트럼프 정부에서는 자국 내에서 의약품을 생산해 유통하기를 원하고 있다. 이에 최근 현지 생산 시설을 인수했고, 올 연말에 자금을 집행해 마찰 없이 진행할 예정"이라며 "미국 내 유통을 통해 약 2조원 규모의 수혜를 받는다"고 밝혔다.
회사는 지난 11일 미국 뉴저지주 브랜치버그 소재 일라이 릴리 생산시설 인수에 대한 연방거래위원회 사전신고사무국(PNO)의 기업결합 심사 절차를 마무리했다고 밝힌 바 있다.
더불어 국내 생산시설의 투자도 지속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서 회장은 "국내는 인천 송도, 충북 오창, 충남 예산 생산시설에 3년간 4조원을 투자한다. 각 지역 간 밸런스를 맞춰 진행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다만, 고학력 인력의 비중이 높은 제약바이오 산업의 특성상 지방 근무자 수급 문제를 피할 수 없어 지방 정부와 논의를 통해 잘 풀어나가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송도에만 4천명 중 270명의 박사(Ph.D) 인력을 보유하고 있다. 지방 시설에 투자할 때 가장 힘든 부분은 고학력자들이 지방 근무를 하지 않으려 하는 것"이라며 "지방 정부와 이 문제를 어떻게 풀 수 있을 지 논의해, 대표적인 (성공) 케이스를 만들어 보려 한다. 국내 투자, 지역 균형 발전에 앞장서겠다"고 설명했다.
더불어 서 회장은 자체 R&D 연구비를 연간 6000억원에서 향후 글로벌 제약사 수준으로 늘리겠다는 입장이다.
서 회장은 "해마다 6000억원을 R&D 비용으로 쓰고 있다. 이 규모를 내년 8000억원으로, 후년에는 1조원 이상으로 늘리려 한다. 이는 글로벌 회사의 R&D 규모의 비슷한 수준"이라며 "그렇게 되면 삼성과 셀트리온까지 추가돼 제약산업 내에서 국내의 위상이 달라질 것으로 본다"고 전망했다.
또, 문재인 정부 때부터 지속하고 있던, 바이오 소부장 사업을 지속해 국산화 비율을 높이고, 5000억원 규모의 스타트업 지원 펀드를 향후 정부와 함께 1조원 규모까지 키우겠다는 목표를 내비쳤다.
그는 이재명 대통령에 "제약바이오산업은 규제를 완화시키는 것이 아니라, 글로벌 기준(Standard)에 맞추는 방향성이 필요하다. 미국과 유럽 규제기관이 임상시험 데이터를 상호 공유하기로 논의하고 있고, 마무리 단계에 돌입했다"며 "한국도 이에 참여할 수 있도록 추진해 미국, 유럽의 임상 데이터를 함께 공유할 수 있다면, 향후 임상시험 비용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 제안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