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지원 10년, 국내 ICT 기반 의료시스템 해외 공급 잇따라
CIS·남미 등 규제 변경 잦은 국가 진출 땐 전주기 지원 관건

고령화에 따른 의료비 증가와 의료인력 부족 등 문제가 지속되면서 의료 접근성 및 시스템 지속가능성이 글로벌 보건 분야의 핵심 과제로 떠올랐다. 미국 등을 중심으로 의료 질 향상과 의료비 절감을 겨냥한 ICT 융합 산업이 확산하는 가운데, 국내 기업들도 해외 시장에서 가시적 성과를 내고 있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 디지털헬스사업단에 따르면 정부는 지난 2016년부터 'ICT 기반 의료시스템 해외진출 지원사업'을 통해 국내 디지털헬스케어 기업 제품의 해외 진출을 돕고 있다. 지원 사업은 10년 동안 40개 기업과 13개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진행됐고 총 67개 프로젝트가 수행됐다. 프로젝트당 지원 규모는 2~3억원에 달했다.

지원 사업 결과 아시아 지역 진출 기업이 전체 64%를 차지했다. 북미(13%)·남미(11%)·중동 및 유럽·오세아니아(6%) 순으로 진출 사례가 많았고 국가별로는 미국·우즈베키스탄·베트남이 순위권을 차지했다.

미국에 진출한 제품군은 만성질환자 원격모니터링 기기다.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원격모니터링과 진료를 제공하면서 보험료를 청구할 수 있도록 RPM 서비스를 결합했다. 50개 의료기관에서 3000명의 환자가 해당 서비스를 이용했으며 사업 초기 매출 1000만원에서 3년만에 30억원으로 성장했다.

인공지능(AI) 내시경 위암검진 솔루션의 베트남 인허가도 획득했다. 하노이 거점 의료기관과 협력해 현지 실증을 수행하고 지원사업 이후 솔루션을 계속해서 지원해 3년만에 현지 공급계약을 체결했다. 태국에는 중증 당뇨병 환자의 혈당관리 플랫폼을 공급하고 현지 업체를 설립해 서비스 제공을 준비하고 있다.

디지털헬스사업단은 지원 사업을 통해 현지 인허가 획득 등 국내 기업의 수출 국가가 확대됐지만 규제가 강한 국가 접근성 향상을 위해 정부 간 협력 등의 추가 지원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CIS·남미 국가는 정보 접근성이 낮아 진입 경로 확보와 성과 창출이 이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현지 조사부터 인허가 취득 후 확산 단계까지 전주기 지원 체계가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또한 규제와 승인 절차의 변경이 잦기 때문에 데이터 수집 및 처리를 위한 기술적 대응이 필요하다고 어필했다. 사업단은 "국내 디지털헬스케어 사업의 해외진출을 위해서는 임상적 유효성이 검증된 제품을 발굴하고 구체적인 성공 사례를 축적하는 장기적 투자가 필요하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 히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