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법 의약품 거래 NO! 식약처, 'AI 캅스' 11월 운영 개시
마약류, 비만치료제 현미경 분석, '마운자로' 초성으로 위험 등급 판단

퍼플렉시티 AI로 만든 이미지. 최선재 기자 작성
퍼플렉시티 AI로 만든 이미지. 최선재 기자 작성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일라이릴리의 비만치료제인 '마운자로' 출시 이후 진행한 7일간 특별 점검을 통해 온라인 불법행위 22건을 단속했다. 

이처럼 비만치료제와 마약류 등 의약품 불법 거래 단속의 효율성이 높이기 위해 식약처는 올해 하반기부터 '온라인 불법 식·의약품 유통 모니터링 시스템(AI 캅스)'을 가동한다는 계획이다.  

식약처 사이버조사팀 박영민 팀장은 9일 '식약처 출입 전문언론 기자단'과 간담에서 "AI 캅스 시범 사업을 진행 중"이라며 "오는 10월 시범사업을 마치면 11월부터 정식 운영에 들어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왼쪽부터 최주영 사이버조사팀 사무관, 박영민 사이버조사팀 팀장, 장수용 사이버조사팀 행정사무관. 사진=식약처 기자단 제공
왼쪽부터 최주영 사이버조사팀 사무관, 박영민 사이버조사팀 팀장, 장수용 사이버조사팀 행정사무관. 사진=식약처 기자단 제공

'AI 캅스'는 식약처가 '2025년 주요업무 추진계획'을 통해 보고한 불법 제품 감시 체계 고도화의 일환이다. 국회 국정감사에서 의약품 마약류 온라인 불법 유통 관리를 강화해야 한다는 지적 이후 식약처는 사이버조사팀을 주축으로 'AI 캅스' 시스템 구축에 나섰다.

식약처 사이버조사팀 관계자는 "식약처 모니터링 요원들은 그동안 불법 의약품 거래 관련 온라 게시물 차단과 단속을 위해 'e-로봇'을 사용했다"며 "그러나 e-로봇은 단순히 인터넷 URL을 끌어오는 방식의 수집 프로그램이기 때문에 관련 없는 논문과 기사 내용이 많아 불법 여부 판단이 쉽지 않았다"고 밝혔다.

이어 "AI캅스는 불법 의약품의 판매 성향 등을 토대로 위험도를 0~10으로 판단해 불필요한 자료가 들어가지 않도록 하는 시스템"이라며 "예를 들어 프로로폴 불법 판매 관련 게시물 위험도가 9~10이라면 관련 학술 논문, 기사 등을 제외한 데이터를 보여주고 이를 모니터링 요원이 다시 분석하는 체계로 속도와 정확도가 올라갈 수 있다"고 덧붙였다.

식약처에 따르면 지난 5월부터 AI캅스를 시범 운영한 결과 마약류 관련 온라인 부당행위 적발 건수가 늘어났다고 설명했다. 2024년 4만 9786건을 기록했지만 올해는 8월 현재까지 이미 3만 1894건을 적발했기 때문이다.  

박영민 팀장은 "AI 캅스가 위험도를 체계적으로 구분하고 모니터링 요원들이 활용하면서 시범 사업의 성과가 나오고 있다"며 "다만 국가정보원으로부터 보안성 검토를 마쳐야하는 과정을 밟고 있어 해당 절차가 끝나면 마약류 뿐 아니라 비만 치료제 등으로 확대 운영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식약처의 비만치료제 온라인 판매 게시물 등 불법행위 단속 건수는 2024년 500건, 올해는 8월까지 220건을 기록했다. 특히 지난 8월 일라이릴리 비만치료제 '마운자로' 출시 이후 일주일간 특별 기획 점검을 벌인 결과 22건의 불법행위를 단속했다.

박영민 팀장은 "AI 캅스는 나날이 증가하는 비만치료제 불법 판매 적발에도 도움이 될 전망"이라며 "마운자로의 초성인 'ㅁㅇㅈㄹ'만으로 불법 판매 성향을 등급별로 판단해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사진, 이미지 안에 있는 문자 역시 선별이 가능한 부분도 도움이 될 전망"이라고 밝혔다.

이어 "향후 AI캅스를 딥러닝한다면 사이버조사팀이 원하는 세밀한 결과들을 토대로 비만치료제 적발 근거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며 "AI캅스에 입력하는 지시문을 세밀화해 지속적으로 학습을 시키면 0~10으로 구분된 위험도 등급 고도화가 가능하다. 비만치료제를 반복 훈련시킬 경우 단속에 필요한 데이터만을 선별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식약처는 향후 AI캅스에 불법 게시물 방송통심심의위원회 심의 시스템을 통한 직접 차단을 요청할 수 있는 기능도 탑재할 예정이다. 

식약처 사이버조사단 관계자는 "과거 'e-로봇' 시스템에서는 방송통심의원회에 차단 요청 공문을 보내면 시간이 소요됐다"며 "방심위에서 심의를 하기 위해 공문에 첨부된 관련 증거들을 내부 시스템에 수기로 입력해야 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하지만 AI캅스 시스템을 고도화하면 방심위 시스템 간의 연계를 통해 자동으로 자료가 넘어가는 것이 가능하다"며 "방심위 직원이 직접 작업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심의 속도가 빨라질 수밖에 없다. 양 기관 간에 협조가 원할해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히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