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KSMO국제학술대회, 임석아 서울대병원 교수 발표
"표준요법 대비 PFS 17.2개월로 대조군 대비 2배 이상 개선"

2025 대한종양내과학회(KSMO) 국제학술대회에서 임석아 서울대병원 혈액종양내과 혈액종양내과 교수는PIK3CA유전자 변이를 보유한 HR+, HER2- 환자에서 암 세포 성장에 핵심이 되는 세 가지 경로를 동시에 차단하는 3제 병용요법의 가치에 대해 조명했다.
2025 대한종양내과학회(KSMO) 국제학술대회에서 임석아 서울대병원 혈액종양내과 혈액종양내과 교수는PIK3CA유전자 변이를 보유한 HR+, HER2- 환자에서 암 세포 성장에 핵심이 되는 세 가지 경로를 동시에 차단하는 3제 병용요법의 가치에 대해 조명했다.

한국로슈(대표이사 이자트 아젬)는 2025 대한종양내과학회(KSMO) 국제학술대회에서 최근 국내 허가를 받은 자사의 PIK3CA 유전자 변이 양성, 호르몬 수용체 양성(HR+), HER2 음성(HER2-) 유방암 1차 치료제 '이토베비(성분 이나볼리십)' 3제 병용요법에 관한 3상 임상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고 8일 밝혔다.

지난 5일 열린 이토베비 심포지엄은 '호르몬 수용체 양성(HR+) 유방암에서 이나볼리십을 통한 PI3K 경로 억제제의 재정의'를 주제로 열렸다. 

이번 심포지엄에서 임석아 서울대병원 혈액종양내과 교수는 PIK3CA 유전자 변이를 보유한 HR+, HER2- 환자에서 암 세포 성장에 핵심이 되는 세 가지 경로를 동시에 차단하는 3제 병용요법의 가치에 대해 조명했다.

임석아 교수는 발표를 통해 "허가 임상인 'INAVO120' 연구 결과, PIK3CA 변이를 가진 HR+, HER2- 유방암 환자를 대상으로 기존 1차 표준요법(CDK4/6 억제제+내분비요법)에 이토베비를 추가했을 때 기존 표준요법 대비 무진행 생존기간(PFS)이 2배 이상 연장하는 치료 효과를 보였다. 특히 PI3K 억제제 중 유일하게 전체 생존기간(OS) 개선을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INAVO120 연구에 따르면, 이토베비 투여군의 전체 생존기간 중앙값(mOS)은 34개월로 대조군 대비 7개월 길었고, 환자의 사망 위험을 33% 감소시켰다(HR=0.67, 95% CI, 0.48-0.94, p=0.02). 또, 이토베비 투여군의 무진행 생존기간 중앙값(mPFS)은 17.2개월로 대조군 대비 2배 이상 길었으며, 질병의 진행 및 사망 위험이 58%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HR=0.42, 95% CI, 0.32-0.55).1

이어 임 교수는 이토베비와 같은 효과적인 치료제가 도입됨에 따라1차 치료 시작 전PIK3CA 유전자 변이 유무를 파악하는 진단 패러다임 변화 필요성에 대해서도 설명했다.

그는 "PIK3CA 변이는 HR+ 유방암 환자의 예후를 나쁘게 만드는 요인이지만 이토베비와 같은 PI3K 억제제의 효과를 예측할 수 있는 중요한 바이오마커"라며 "예후가 불량한 PIK3CA 변이 환자에게 효과적인 치료 옵션을 고려할 수 있도록 보조 호르몬 치료 중 질병이 진행된 환자의 경우 전이성 유방암 치료 시작점에 적극적으로 유전자 검사를 시행해 PIK3CA 변이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현재 미국 국립 종합 암 네트워크(NCCN, National Comprehensive Cancer Network) 및 유럽종양학회(ESMO, European Society for Medical Oncology) 등 국제 가이드라인은 HR+, HER2- 전이성, 진행성 유방암 환자에서 중합 효소 연쇄반응(PCR) 또는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NGS)을 활용한 PIK3CA 유전자 변이 검사를 권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토베비는 지난 7월 29일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수술 후 보조내분비요법 중 또는 완료 후 12개월 이내 재발한 HR+, HER2- 및 PIK3CA 유전자 변이가 확인된 국소 진행성 또는 전이성 유방암 성인 환자에서 팔보시클립 및 풀베스트란트와의 병용투여로 허가 받았다. 보조요법으로 CDK4/6 억제제 치료 경험이 있는 경우 CDK4/6 억제제 치료 종료 후 12개월을 초과해야 하며, 폐경 전 및 남성 환자의 경우 LHRH 길항제를 함께 투여해야 한다. 

AD 실시간 제약시장 트렌드, 데이터로 확인하세요. 제약산업을 읽는 데이터 플랫폼 BRP Insight
저작권자 © 히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