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 치료제 부작용 모니터링 가능한 '뉴로핏 아쿠아 AD' 소개
치매 진단 및 치료 인공지능(AI) 솔루션 기업 뉴로핏(공동대표이사 빈준길, 김동현)이 오는 27일부터 캐나다 토론토에서 열리는 '알츠하이머협회 국제학술대회(AAIC 2025)'에 참가해 뇌 영상 분석 소프트웨어를 다수 공개하고 글로벌 파트너링에 나선다.
뉴로핏은 이번 학회에서 항아밀로이드 항체 기반 치매 치료제 처방 및 효과, 부작용을 정밀하게 모니터링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뉴로핏 아쿠아 AD(Neurophet AQUA AD)'를 선보인다고 24일 밝혔다. 회사에 따르면 해당 제품은 MRI 및 PET 영상을 정량 분석해 치료 전 과정에 걸친 뇌 변화 데이터를 제공한다.
또 회사는 해당 제품이 레카네맙(레켐비), 도나네맙(키순라) 등 최근 승인된 알츠하이머 치료제 사용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 모니터링에 활용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항체 치료제의 주요 부작용 중 하나인 뇌부종, 미세출혈 등을 영상 기반으로 추적해 안전성과 치료 반응을 동시에 평가할 수 있다는 점에서 활용도가 높다는 설명이다.
이 외에도 뉴로핏은 기존 뇌신경 퇴화 분석 소프트웨어 '뉴로핏 아쿠아(Neurophet AQUA)'와 PET 영상 분석 제품 '뉴로핏 스케일 펫(Neurophet SCALE PET)'도 함께 전시한다. 해당 제품들은 각각 MRI 기반 구조 영상 분석, PET 영상 정량화 등 전주기적 영상 진단 도구로 구성돼 있다.
뉴로핏은 AAIC 현장에서 글로벌 제약사 및 신경과 전문가들과의 파트너링 미팅을 통해 제품 협력 및 공동개발 가능성을 모색한다. 빈준길 공동대표는 학회 발표 세션을 통해 '알츠하이머병 패러다임 전환 시대의 뉴로핏: 기업공개(IPO)까지의 여정과 그 이후'를 주제로 기업 전략을 공유할 예정이다.
빈 대표는 "뉴로핏 아쿠아 AD는 뇌 영상 바이오마커 분야에서 글로벌 협업 파트너로 주목받고 있다"며 "이번 학회를 기점으로 주요 제품의 해외 사업화를 더욱 가속화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AAIC는 치매 관련 연구자 및 임상의들이 대거 참여하는 국제 학회로, 올해는 7월 27일부터 31일까지 5일간 개최된다. 뉴로핏은 전시 및 발표 외에도 주요 글로벌 KOL(Key Opinion Leader)과의 네트워킹 세션을 통해 전문성 강화를 이어간다는 계획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