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평원 '통계로 보는 난임시술' 책자 발간

2022년 시행된 난임시술 건수는 20만7건으로, 2019년 14만6354건 대비 5만3653건(36.7%)이 증가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원장 강중구)은 26일 '통계로 보는 난임시술' 책자 발간을 통해 난임 시술 과정 및 임신율 등의 통계를 공개했다.

기존 급여명세서를 기반으로 산출했던 통계와 달리 이번 통계는 전체 난임시술 지정 의료기관으로부터 수집한 난임시술기록지를 바탕으로 산출됐다. 책자는 △난임시술 알아보기 △국내 난임시술 관리 △2022년 난임시술 일반현황 △2022년 인공수정 및 체외시술 현황 등으로 구성됐다.

연도별 난임시술 현황 /사진=건강보험심사평가원
연도별 난임시술 현황 /사진=건강보험심사평가원

통계 결과 2022년 난임시술을 시행한 기관은 201개소이며, 시술건수는 20만7건이다. 유형별로는 체외수정시술이 16만6870건, 인공수정시술이 3만3137건으로 나타났다.

연령별로는 체외수정은 35~39세 비율이 34.2%, 인공수정은 30~34세 비율이 43%로 가장 높았다. 또한 체외수정은 1~2차가 전체 시술의 57.7%, 인공수정은 1~2차가 81.4%를 차지했다.

난임시술 완료 건 중 초음파 검사에서 임신낭이 확인된 비율(임신율)은 36.9%와 13%로 체외수정이 높았으며, 두 시술 모두 연령이 증가할수록 임신율이 감소했다.

서희숙 심평원 의료자원실장은 "올해 난임 통계를 시작으로 매년 정기적으로 난임 관련 정보를 알기 쉽게 제공하고, 난임 지원 정책 수립 및 연구에 필요한 다양한 통계자료를 개발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히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