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주영 교수 연구팀, MASLD 환자 대상 혈당강하제 비교 연구 결과 발표

성균관대학교(총장 유지범)는 약학과 신주영 교수 연구팀이 '대사이상 지방간질환(Metabolic dysfunction-associated steatotic liver diseaseㆍMASLD) 환자를 대상으로, SGLT2 억제제의 효과를 Thiazolidinedione 및 GLP-1 수용체 작용제와 비교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고 10일 밝혔다.

연구팀에 따르면, 국민건강보험공단의 빅데이터를 활용해 40세 이상의 MASLD 환자들을 대상으로 2014년부터 2022년까지의 처방 기록을 분석했다. 연구 결과는 의학 분야 학술지 'Gut'에 지난 6일 온라인 게재됐다.

MASLD는 지방간과 관련된 대사 이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질환으로, 제2형 당뇨병 환자의 약 60%가 MASLD를 앓고 있을 정도로 유병률이 높다. 초기에는 특별한 증상이 없어 치료 시기를 놓치기 쉽지만, 병이 진행되면 △간경변 △간부전 등 심각한 간 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조기 치료와 예방이 중요하다.

이번 연구에서는 SGLT2 억제제와 △GLP-1 수용체 작용제 △Thiazolidinedione 계열 등 세 가지 혈당강하제의 효과를 비교했다. 연구 결과 SGLT2 억제제와 GLP-1 수용체 작용제는 간 질환 예방 효과에서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SGLT2 억제제는 Thiazolidinedione보다 간 질환 발생 위험을 23% 낮추는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SGLT2 억제제의 효과는 여성과 65세 미만 환자에서 뚜렷하게 나타났다는 게 연구팀 측 설명이다.

신주영 성균관대 교수는 "이번 연구가 MASLD 환자에게 주요 간 질환 예방을 위한 적합한 혈당강하제 선택에 중요한 근거를 제공했다"며 "특히 SGLT2 억제제가 Thiazolidinedione 대비 간 질환 예방에 효과적이라는 점이 큰 의미를 가진다"고 말했다. 이어 연구진은 "국내에서 사용량이 낮은 최신 GLP-1 수용체 작용제에 대해서도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고 부연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배재현 서울대학교병원 내분비대사내과 교수 △조영민 교수 △장유수 강북삼성병원 교수 △류승호 교수 △영국 University of Southampton의 Christopher Byrne 교수 연구진과 공동으로 수행됐으며, 환자 중심 의료 기술 최적화 연구사업단의 지원을 받아 진행됐다.

AD 실시간 제약시장 트렌드, 데이터로 확인하세요. 제약산업을 읽는 데이터 플랫폼 BRP Insight

관련기사

저작권자 © 히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