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증성 장질환 치료제 및 약물전달시스템 개발 목적
우유에서 유래한 '밀크엑소좀', 생산성 높고 경구 섭취 가능

동아에스티(대표 김민영)는 염증성 장질환(Inflammatory Bowel DiseaseㆍIBD) 치료제 개발을 위해 한국과학기술연구원(원장 윤석진ㆍKIST)과 '밀크엑소좀' 기반 경구 핵산 전달체 기술도입(L/I) 계약을 체결했다고 22일 밝혔다.
계약 내용에 따르면, 동아에스티는 KIST 의약소재연구센터가 개발한 밀크엑소좀 기반 경구 핵산치료제 전달기술에 관한 특허 권리를 KIST 측으로부터 양도받는다. 또 양사는 KIST에서 운영하고 있는 '링킹랩(Linking Lab)' 과제의 일환으로, 밀크엑소좀 기술 상용화를 위한 후속 연구를 2년간 공동으로 수행한다.
동아에스티 관계자는 "KIST는 치료제 탑재 기술 및 밀크엑소좀 제조 공정의 초기 연구와 동물모델에서 IBD 치료제로서의 유효성을 검증한다"며 "동아에스티는 치료제 탑재 및 제조 공정 스케일업(Scale up) 연구, 약효 기전 연구 등을 진행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우유에서 분리한 밀크엑소좀은 동물세포 유래 엑소좀에 비해 생산성이 높고, 경구 섭취가 가능하다"며 "위장관계로 직접 전달되므로 질환 부위 이외에서 발생하는 부작용을 차단할 수 있고, 식품인 우유의 특성상 안전 측면에서도 유리할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회사는 밀크엑소좀을 전달체로 활용해 향상된 치료 효능과 부작용 차단 및 내성 최소화, 경구 투여를 통한 복약편의성이 확보된 장질환 치료제를 개발할 계획이다. 특히 전달체로써의 가능성이 확인되면 신규 모달리티 치료제 탑재를 위한 '약물전달시스템 플램폼화'도 진행할 계획이다.
윤석진 KIST 원장은 "양측의 공동 연구를 통해 개발된 밀크엑소좀 기반 경구 핵산 치료제는 인류의 삶을 개선할 수 있는 혁신적인 신약이 될 것"이라며 "국내를 넘어 글로벌 시장에도 진출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박재홍 동아에스티 R&D 총괄 사장은 "밀크엑소좀의 물질적 특장점에 착안해 미충족 의료 수요(Unmet Medical Needs)가 높은 염증성 장질환 치료제로의 개발 가능성에 주목하게 됐다"며 "밀크엑소좀의 이러한 특징을 활용한 약물전달시스템 플랫폼을 개발해 다양한 질환 치료제로도 확장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엑소좀은 세포에서 자연적으로 생성되는 세포외소포체(Extracellular vesiclesㆍEvs)의 일종으로, 내부에 치료 물질을 탑재해 질환 부위에 전달하는 약물전달시스템(Drug delivery systemㆍDDS) 연구에 활용되고 있다.
관련기사
- 동아ST, 2022년 영업익 흑자전환…전년비 2배 이상
- 케미컬 강점 동아ST... 박재홍 '바이오 빌드업' 속도전
- 동아에스티, 출시 1주년 B형간염 치료제 '베믈리아' 매출 확대 본격화
- 아이엠바이오로직스, 동아ST와 'ePENDY' 플랫폼 항체신약 공동 연구
- 동아에스티, 작년 영업익 17% 증가한 358억… ETC 매출원가율 개선
- 동아에스티, 방광염 치료 의료기기 '플리시스' 출시
- KIST·강원특별자치도, '바이오 특화단지' 조성 위해 맞손
- "동아에스티, 에스티젠-에스티팜과 3각편대, 송도 바이오 거점화"
- Dong-A ST, STGen Bio, ST Pharm's Triangular Partnership at Songdo Bio Hub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