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CO GI 2024 전문가 세션 발표… "환자 간기능 무관한 일관된 치료 효과"
미국암학회 소화기암 심포지엄(ASCO GI 2024)에서 HLB(에이치엘비ㆍ회장 진양곤)가 개발한 '리보세라닙'과 중국 항서제약의 PD-1 억제제 '캄렐리주맙' 병용요법이 기존 치료 요법 대비 간독성이 높은 환자에서도 효과적이라는 내용이 발표됐다.
HLB 관계자는 22일 보도자료를 통해 "지난 18일부터 3일간 개최된 ASCO GI 2024 전문가 발표 세션(Industry Expert Theater Presentation)에서 간암 치료에 있어서 환자의 간기능과 이를 고려한 치료제의 선택이 환자의 생존과 직결되는 중요한 요소라는 내용이 발표됐다"며 "HLB의 간암신약 '리보세라닙'이 약물 유발 간독성(DIH)이 있는 환자나 간기능이 저하된 환자에서도 높은 효능을 보여, 환자의 사망 위험을 낮춰주는 것으로 드러났다"고 설명했다.
회사 측에 따르면, 만성 간질환이나 BㆍC형 간염, 알코올성 지방간염, 비알코올성 지방간염 등은 간암 치료를 어렵게 하는 주요 요인이다. 이를 고려하지 않은 무분별한 치료는 자칫 환자의 간손상을 더욱 악화시키고, 환자에게 처방되는 여러 약물들의 효과를 떨어뜨릴 수 있기 때문에 치료제 선택시 고려해야 한다.
이번 행사에서 HLB 미국 자회사인 엘레바의 메디컬 부문 총괄 나탈리아 라파엘(Natalia Raphael) 박사가 발표를 밭았다. 그는 "리보세라닙 병용요법은 글로벌 임상 3상 연구인 'CARES-310'에서 환자의 간기능 정도에 상관없이 환자의 전체생존기간 중앙값(mOS)과 무진행생존기간 중앙값(mPFS)에서 일관된 치료효과를 입증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반면 현재 표준요법인 '아바스틴+티쎈트릭' 병용요법은 전체 간암 환자의 60%를 차지하는 ABLI 2등급 환자에서 유효성을 확인하지 못해 치료의 한계성을 드러냈다"고 덧붙였다.
환자의 혈청 알부민과 빌리루빈 수치만을 객관적으로 측정하는 'ALBI' 지표는 간기능을 진단하는 최신 방법이다. 환자의 상태와 치료 예후는 물론, 간기능에 따른 약효와 안전성, 생존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보다 효과적이라는 게 그의 설명이다.
라파엘 박사는 "이번 연구를 통해 리보세라닙 병용요법의 경우, CP 등급 기준으로 'CP-A5', 'CP-A6' 등급의 환자에서 mOS가 각각 23.9개월, 22.0개월로 일관된 치료 효과를 나타낸 반면, 대조군인 소라페닙의 경우 CP-A5에서 15.8개월, CP-A6에서 9.2개월로 간기능이 악화된 환자에서는 약효가 크게 떨어지는 것으로 분석돼 (리보세라닙이) 간암 치료에 있어 뛰어난 범용성이 있음을 다시 한번 입증했다"고 강조했다.
이 외에도 이번 발표에 따르면 치료 후 2개월부터 18개월간 관찰한 결과, 약물 유발 간독성이나 3ㆍ4등급의 간독성이 있는 환자에서 리보세라닙 병용요법 투여군은 객관적반응률(ORR)이 9.1% 상승한 반면, 소라페닙군에서는 1.6%로 낮은 수준의 개선만 이뤄졌다. 간독성 3ㆍ4등급 환자에서 생존기간도 리보세라닙군은 21.5개월, 대조군은 8.4개월, 무진행생존기간은 각각 5.6개월, 2.2개월을 보였다.
라파엘 박사는 "이 모든 결과를 종합해보면, 리보세라닙 병용요법은 간독성을 고려한 절제불가능한 간암 환자에 대한 치료에 있어서도 최적의 선택이 될 수 있음을 입증했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