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로 세포 변화에 따른 질환 예측 및 맞춤형 치료법 제시
비엘팜텍(대표 이천수)의 자회사인 진단 기업 비엘사이언스(대표 신동진)가 금오공대 고재필 교수 연구팀과 공동연구를 통해 정확도를 가진 '인공지능(AI) 세포핵 진단 딥러닝 모델' 개발에 성공했다고 12일 밝혔다.
공동연구팀은 지난 9월 '조직, 세포병리 진단에서 AI를 활용한 암 진단 솔루션 공동개발' 계약을 체결했다. 고 교수가 개발한 딥러닝 AI 알고리즘을 활용해 '세포핵 이미지 분리 기술'을 개발한 공동연구팀은 최근까지 프로그램 업그레이드 등 딥러닝 모델 개선을 진행해 왔다. 이를 통해 90%에 육박하는 정확도를 가진 진단 프로그램의 원천기술을 확보했다는 게 비엘사이언스 측의 설명이다.
공동연구팀은 다양한 세포 간 차이를 표준화하고, 객관화 시킨 AI 이미지 분석 기술을 개발해 세포에서 핵을 정확하게 구분하는 세포핵 분할 딥러닝 모델을 개발했다. 특히 비엘사이언스는 자사가 확보한 15만례 이상의 질환 및 정상인 세포 이미지를 활용해 프로그램의 정확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완료했다.
비엘사이언스 관계자는 "세포 전체 이미지에서 세포핵 이미지를 분리해 내는 정확도가 핵심인 데 현재 세계 최고 수준의 프로그램은 80% 초반대다. 우리가 공동연구를 통해 개발한 'AI 세포핵 분할 딥러닝 모델'은 정확도가 90%에 육박한다"며 "해당 모델 및 관련 원천기술은 현재 특허 출원을 진행 중에 있으며, 내년에 개최되는 AI 세계학회에서 연구성과를 공개하고 상업화에 박차를 가하겠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남대열 기자
dynam@hitnews.co.kr
바이오헬스 산업 생태계를 이해하고 인사이트를 찾아내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