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학술지 'Metabolism' 게재…"골다공증 치료 작용기전 밝혀"

메드팩토(대표 김성진)는 길로연구소와 공동 연구를 통해 파골세포 다핵화 형성에 연관된 단백질 '모아트(MOART)'를 발견했다고 29일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메타볼리즘(Metabolism: Clinical and ExperimentalㆍIF : 9.8)'에 게재됐다. 해당 학술지는 내분비대사 분야에서 세계 4번째로 손꼽히는 국제학술지다.

메드팩토 연구진은 파골세포 분화 과정의 마지막 단계에서 발현이 증가되는 단백질인 모아트가 파골세포의 다핵화 형성에 주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이를 토대로 모아트를 타깃하는 치료제 'MP2021(개발코드명)'을 개발해, MP2021이 골다공증 마우스 모델에서 뼈 손실을 현저하게 억제하는 탁월한 치료효과를 보인다는 사실도 관찰했다.

MP2021에선 류머티즘 관절염 치료능도 확인됐다. 최근 미국류마티스학회에서 공개된 전임상 데이터에 따르면, MP2021은 콜라겐 유발 관절염 생쥐 모델에서 염증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이 확인됐다. 또 연골 손상ㆍ뼈 침식ㆍ염증 관련 유전자의 발현이 현저히 감소됐다. 메드팩토와 길로연구소는 MP2021의 류머티즘 관절염 치료 기전에 대한 논문을 향후 국제학술지에 투고할 예정이다.

연구진은 "기존 약제와 다른 작용기전을 가진 MP2021은 특이적으로 염증과 뼈의 손실을 동시에 억제하는 혁신적인 치료제"라며 "류머티즘 관절염, 골다공증이나 뼈 전이뿐만 아니라 기존 약제 치료 중단 후 일어나는 급격한 골 손실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치료제로도 사용이 가능해, 환자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메드팩토가 국제학술지 'Metabolism'에 게재한 논문 / 사진=메드팩토
메드팩토가 국제학술지 'Metabolism'에 게재한 논문 / 사진=메드팩토

관련기사

저작권자 © 히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