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우스 모델서 난소암 사멸 효과 확인 및 Panck T세포 개발"

유틸렉스(대표 권병세ㆍ유연호)는 미국면역항암학회(Society for Immunotherapy of Cancer 2023ㆍSITC 2023)에서 2건의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고 6일 밝혔다. 1984년 설립된 SITC는 면역항암 분야 세계 최고 권위의 학회이다. 전문의, 제약바이오 전문가, 정부 관계자 등 전 세계 63개국에서 4600명 이상이 활동하고 있다.
유틸렉스는 지난 4일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디에이고에서 열린 SITC 2023에서 난소암 전임상 모델에서의 '103(개발코드명)'의 항암 효과와 범용 암세포 사멸용 MR1 T세포인 Panck T세포 개발을 주제로 포스터 발표했다.
'난소암 전임상 모델에서의 103의 항암 효과'를 주제로 발표한 포스터의 내용은 △T세포의 활성화 유도 확인 △난소암 환자의 복수에서 분리한 TAM의 M1 전환 효과 확인 △VSIG4가 난소암 환자의 혈청에서 검출될 가능성 더 높은 점 확인 △난소암 환자에서 분리한 복수에 직접 ‘103’을 투여할 경우 난소암의 사멸 효과 확인 △CD34 인간화 마우스 모델에서 103을 3일마다 총 5회 주사한 결과 103 용량 증가에 따라 종양 크기 감소되는 것을 확인 등 연구 성과를 담고 있다. 이번 연구는 앞서 SITC 2022에서 공개한 103의 폐암 항암 효과에 이어 난소암까지 적응증을 넓혀 그 효능을 확인했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범용 암세포 사멸용 MR1 T세포인 Panck T세포 개발'을 주제로 공개한 연구 결과는 △MR1 제한 Panck T세포를 고순도로 분리하고 확장하는 방법 확립 △다양한 고형암과 혈액암 동물 모델에서 강력한 항암 활성 △Panck T세포로부터 TCR을 동정하고 다양한 암종에 대한 항암 효능을 가지는 TCR T세포에 대한 확장 연구 방향을 제시하는 등 내용을 담았다.
이번 학회에서 103 포스터 발표자로 나선 김혜정 파이프라인 매니저(Pipeline Manager)는 "이번 연구 발표에서 폐암에 이어 난소암까지 103의 적응증을 확장 결과를 전할 수 있어 기쁘다"며 "앞으로도 103의 적응증 확장을 위해 더 활발히 연구에 매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 유틸렉스, 미국면역항암학회 참가…"초록 채택"
- 유틸렉스 "권병세 대표, '2024 ACGT' 첫 연사로 나서"
- 유틸렉스, 간세포암 CAR-T 치료제 임상 환자 모집 시작
- 유틸렉스, 킬러T세포치료제 국내 임상 2상 개시
- 유틸렉스, UC샌디에이고대 '라 홀라 연구소'와 협약
- 유틸렉스, 고형암 CAR-T 치료제 '307', KDDF 지원 협약 체결
- 유틸렉스, 항체치료제 103 중국 특허 등록 완료
- 유틸렉스, 전북대 인수공통전염병연구소와 MOU 체결
- 유틸렉스, 신주 발행 없는 무증자 소규모합병 결정
- 유틸렉스, 주주설명회서 소규모 합병 배경 · 청사진 설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