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년 연속 통합 A+ 등급, 화학·제약 업계 유일"
"환경 관리 수준의 고도화, ESG 정보 투명성 강화 등 이유로 분석"

SK케미칼(대표 안재현)이 작년에 이어 올해도 ESG 평가에서 'A+' 등급을 획득했다. 회사는 한국ESG기준원(KCGS)에서 주관하는 2023년 ESG 평가에서 통합 A+ 등급을 획득했다고 3읽 밝혔다.
이는 작년 KCGS 평가에서 처음 A+ 등급을 받은 것에 이어 2번째다. 회사 관계자는 "KCGS 평가에서 2년 연속 A+ 등급을 받은 기업은 5곳에 불과하고, 이 중 화학, 제약바이오 기업은 SK케미칼이 유일하다"고 설명했다.
KCGS는 환경, 사회, 일반상장사 지배구조 등 영역별 등급과 ESG 통합 등급을 부여한다. 등급은 S등급부터 D등급까지 총 7개 등급으로 분류되며, 절대 평가로 등급별 점수 기준에 따라 등급을 나누고 있다. 지금까지 최고 등급인 S등급을 획득한 사례는 없다. KCGS는 올해 유가증권 시장 상장법인 791개 기업에 대한 평가를 진행했고, 이 중 상위 2.4%에 해당하는 19개 기업만이 통합 A+평가를 거뒀다.
회사 관계자는 "SK케미칼은 올해 평가에서 환경 A+, 사회 A+, 지배구조 A를 획득했다"며 "이는 전년 세부 항목 평가와 동일한 결과이지만, 전체 영역에서 고르게 점수가 상향됐다"고 밝혔다. 이어 "지속적인 환경 관리 수준의 고도화, 인권 실사 추진, 홈페이지 정보 공개 등 ESG 정보 접근성 및 투명성 강화 등이 평가 점수 상향에 긍정적으로 작용했을 것으로 분석된다"고 덧붙였다.
한편 회사는 현재 높은 평가를 받고 있는 환경과 사회 분야 활동을 보다 고도화하는 것과 동시에 높은 수준의 지배구조 구축을 위해 노력을 기울여 나간다는 방침이다. 김기동 SK케미칼 경영지원본부장은 "이번 ESG 평가는 그간 SK케미칼이 중장기적으로 기울인 노력의 산물"이라며 "탄소 제로 등 환경 분야와 사회적 가치 실현을 위한 노력과 함께 보다 투명하고 합리적인 이사회 중심의 의사결정을 기반으로 ESG 경영에 더욱 매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