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 대응전략 보완 및 시나리오 기반 재무영향 분석 포함

SK케미칼(대표이사 안재현)은 기후변화 시나리오별 대응 전략을 담은 '2023 TCFD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1일 밝혔다. 

보고서는 최근 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 International Sustainability Standards Board)가 확정한 기후공시 기준 IFRS S2에 부합할 수 있도록 TCFD (기후변화 관련 재무정보 공개 협의체, Task Force on Climate-related Financial Disclosures) 프레임을 기반으로 거버넌스, 전략, 리스크 관리, 지표 및 목표 4개 영역에 대한 기후변화 대응전략을 보완하고 시나리오 기반 재무영향 분석 등을 담았다.

보고서에는 작년 '리스크관리위원회'를 신설하고 이사회 중심의 기후변화 대응 지배구조를 확립한 내용이 포함됐다. 리스크관리위원회를 통해 기후변화 대응을 포함한 경영 전반의 중요 ESG 사항을 검토하고 사업과 연계된 리스크를 파악해 각 요인별로 전략을 수립하는 등 체계적인 리스크 관리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는 점도 담겼다.

또 기후변화 리스크에 대응하기 위해 전 사업장 넷제로(Net Zero) 달성, 순환경제 구축, 그린소재 사업으로 포트폴리오 전환 등 3가지 전략을 구체화했다.

SK케미칼은 넷제로 달성을 위해 2040년까지 생산공정효율화, 전사업장 재생에너지 보급 및 LNG, 수소와 같은 친환경 연료 전환 등을 통해 사업장에서 직/간접적으로 발생하는 온실가스(Scope1&2)를 100%(상쇄포함) 감축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지난해에 이어 탄소배출량 측정이 어려운 Scope3 (전 밸류체인 상 탄소배출량) 온실가스 감축 목표와 방법을 구체적으로 제시하려 했다.

또 순환 재활용 사업 체계를 기반으로 한 순환경제 생태계 구축를 통해 밸류체인(Value Chain)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Scope 3)를 2050년까지 ‘21년 온실가스 배출 전망치(BAU, Business as Usual) 대비 96%까지 감축할 방침이다. 순환재활용 사업에 발맞춰 리사이클 원료 사용량을 확대하고 폐기되는 플라스틱 재활용 비율을 높여 온실가스를 줄일 예정이다.

특히 보고서에서 공개된 기후변화 시나리오 기반 재무영향도 분석은 많은 국내외 투자자들의 이목을 끌 것으로 기대된다.

회사는 파리기후협정에 부합하는 1.5℃, 2℃미만, 3℃이상 지구 온도 상승의 3가지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탄소비용 리스크를 분석해 공개했다. 3가지 시나리오 모두 2040년 넷제로 달성을 위한 투자는 장기적인 관점에서는 재무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예측됐다. 이와 함께 기후변화로 인한 물리적 손실도 4가지 시나리오를 가정해 잠재적 리스크를 판단하고 재무적 영향도를 분석해 보고서에 담았다는 것이 SK케미칼의 설명이다.

안재현 대표이사는 "기후위기 문제에 책임의식을 갖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에코 트렌지션(Eco Transition) 노력과 투자를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며 "앞으로 기후 대응 전략 과제의 이행성과에 대해 이해관계자와 적극 소통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AD 실시간 제약시장 트렌드, 데이터로 확인하세요. 제약산업을 읽는 데이터 플랫폼 BRP Insight
저작권자 © 히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