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유럽 바이오시밀러 수요 증가 및 신규 품목 성장세 반영"
셀트리온(대표 기우성)은 '램시마'ㆍ'램시마SC'ㆍ'유플라이마'ㆍ'트룩시마'ㆍ'허쥬마'ㆍ'베그젤마' 등 4236억원 규모의 공급계약 체결을 25일 공시했다.
이번 계약은 분기 공급계약으로는 역대 최대 규모다. 미국ㆍ유럽 등에서 증가 중인 항체 바이오시밀러 수요와 유플라이마ㆍ베그젤마 등 신규 품목 중심의 성장세에 힘입은 결과라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 여기에 테바(Teva)의 편두통 치료제 원료의약품 위탁생산(CMO) 공급물량이 연내 추가되면 하반기 매출은 더욱 늘어날 것이라고 회사 측은 전망했다.
의약품 시장조사기관 아이큐비아(IQVIA)와 셀트리온헬스케어에 따르면 셀트리온 제품의 올해 1분기 유럽 시장 점유율은 △램시마 61.7% △트룩시마 22.1% △허쥬마 19.2%였다. 특히, 램시마와 트룩시마는 오리지널 제품을 상회하는 견고한 점유율을 보이며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고 회사 측은 부연했다.
미국 시장에선 올해 2분기 기준으로 램시마(미국 브랜드명 인플렉트라)가 30.2%, 트룩시마가 30.5%의 점유율을 보이고 있다. 회사 측에 따르면 램시마SC(미국 브랜드명 짐펜트라)가 현재 미국 내 신약 허가 절차를 진행 중인 만큼, 램시마의 꾸준한 점유율 상승은 향후 짐펜트라의 미국 시장 진출에도 긍정적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램시마SC는 올해 1분기 기준 유럽 주요 5개국(EU5)에서 17%의 점유율을 기록했다. 특히 독일에서 33%, 프랑스에서 21%의 점유율을 보였으며, EU5 내 램시마와 램시마SC 합산 점유율은 68.5%에 달한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셀트리온 관계자는 "램시마, 허쥬마 등 기존 바이오시밀러 품목의 공급이 확대되는 가운데, 램시마SC, 유플라이마 등 차세대 품목이 허가 확대와 수주가 이어지면서 안정적인 성장을 이루고 있다"며 "주요 품목의 허가 및 출시 지역 확대에 따라 하반기 성장세가 내년에도 계속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안정적 공급이 진행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美 라니, 셀트리온 'CT-P43' 기반 경구형 우스테키누맙 임상 1상 착수
- BMS·로슈 앞에… 국내 제약바이오 "신뢰받는 기업 2·3·10·18위"
- 셀트리온헬스케어, 이탈리아서 '유플라이마' 입찰 수주
- 서정진 셀트리온그룹 회장, 美서 해외 투자자 대상 그룹 비전 제시
- 셀트리온, 연 800만 바이알 규모 신규 완제의약품 공장 증설 착수
- 셀트리온 "휴미라 바이오시밀러 '유플라이마' 일본 판매 허가"
- Celltrion Announces $313mn Supply Contract for Antibody Biosimilars
- 셀트리온헬스케어, 美 케어파트너스와 '유플라이마' 공급계약 체결
- 셀트리온, 유럽 장질환학회서 램시마SC 3상 사후 분석 결과 공개
- 셀트리온, 美 골대사학회서 프롤리아 시밀러 임상1상 결과 발표
- 셀트리온헬스케어 "뉴질랜드 보조금 지원 품목 허셉틴서 '허쥬마'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