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차 평가지표 중 하나인 '셔머테스트'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개선 효과
한올바이오파마(공동대표 정승원ㆍ박수진)는 19일 안구건조증 치료제 'HL036(개발코드명)'의 안전성과 유효성을 평가하는 미국 3상 임상시험(임상명 VELOS-3) 결과를 발표했다.
HL036(성분 탄파너셉트)은 한올바이오파마와 대웅제약이 공동 개발하고 있는 바이오 신약이다. 안구 내 염증을 유발하는 종양괴사인자(TNFㆍTumor necrosis factor)를 억제해 안구건조증을 치료하는 기전이다.
이번 임상은 미국 중증 안구건조증 환자 260명을 탄파너셉트 점안액과 위약 투여군(Vehicle) 두 그룹으로 나눠 투약 종료 시점인 8주차에 각막 중앙부에서의 효과를 확인하는 '중앙각막염색지수(CCSS)'와 안구건조감을 측정하는 '안구건조감지수(EDS)'를 1차 평가지표(Primary endpoint)로 평가했다.
회사에 따르면 임상 결과 탄파너셉트는 1차 평가지표인 CCSS와 EDS를 달성하지 못했다. 반면 2차 평가지표(Secondary endpoint) 중 하나인 '셔머테스트(Schirmer test)'에서 위약 대비 통계적으로 유의한 개선 효과(p<0.001)를 나타냈다. 또 10㎜ 이상의 개선을 보인 환자 반응률(탄파너셉트 15%, 위약 4%)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1).
셔머테스트는 안구건조증 환자들의 눈물 분비량을 측정하는 검사로, 3㎝ 길이의 종이를 아래 눈꺼풀 밑에 걸쳐 놓고 5분간 적셔진 종이 길이를 측정하는 검사 방법이다. 첫 번째 임상 3상(VELOS-2)에서 VELOS-3 임상과 동일한 환자 선정 기준을 충족하는 환자군의 사후 분석에서도 셔머테스트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개선 효과가 확인됐다(p<0.05)고 회사 측은 밝혔다.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셔머테스트에서 통계적 유의성을 달성하면 주관적 증상에 대한 임상 결과가 없어도 효능을 인정한다. 통상 안구건조증 치료제가 효용성을 인정받으려면 주관적 증상(symptom)과 객관적 징후(sign) 모두에서 통계적 유의성을 확보해야 한다.
안전성과 내약성 측면에서 탄파너셉트는 미국에서 진행된 지난 임상 2상(VELOS-1)과 첫 번째 임상 3상(VELOS-2)과 일관된 결과를 보였으며, 새롭게 발견된 중대한 부작용은 없었다. 한올바이오파마는 이번 두 번째 임상 3상인 VELOS-3 결과와 지난 임상 결과 분석을 통해 다음 개발 전략을 연내 확정할 계획이다.
정승원 한올바이오파마 대표는 "셔머테스트를 통해 확인된 눈물 분비량 개선 효과는 안구건조증 치료에 있어 주요 요소로, 향후 진행될 임상에서 탄파너셉트의 효과 입증을 위한 중요 지표로 활용될 예정"이라며 "임상에 참여한 환자와 연구진에게 감사드리며, 지금까지의 임상 데이터 분석을 기반으로 효과적인 안구건조증 치료제 개발에 매진하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