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상단계별 체계적인 모델링 연구 진행…펙수클루 SCI급 연구논문 게재
대웅제약이 신약 및 신제품 개발에서 ‘모델링 및 시뮬레이션 기술’을 적극적으로 활용해 성과를 거두고 있다. 모델링 및 시뮬레이션 기술은 수학과 바이오 기술을 융합해 임상 기간과 비용을 줄여 개발 기간을 단축시키는 연구법이다. 미국 식품의약국(FDA)도 지난해 ‘모델링 및 시뮬레이션의 성공과 기회’ 보고서를 발간하는 등 신약 개발에서의 활용을 권장하고 있다.
대웅제약(대표 전승호ㆍ이창재)은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이하 생명연) 실험동물자원센터와 지난 2019년 연구 성과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체결한 ‘공동 연구개발 업무협약(MOU)’에 대한 성과를 24일 공개했다.
주요 성과로는 대웅제약이 자체 개발한 위식도역류질환 신약 펙수클루(성분명 펙수프라잔) 논문 2건이 파마슈틱스 저널(Pharmaceutics Journal) 및 파마슈티컬스 저널(Pharmaceuticals Journal)에 게재돼 과학적 근거를 뒷받침하는 데 성공했다.
앞서 2021년에는 대한임상약리학회 학술대회에서 생명연 이경륜(사진) 박사가 ‘펙수프라잔의 경구투여에 대한 생리학적 기반 약동학 모델 개발’을 주제로 사례 발표를 진행하는 등 연구 성과를 대외에 알리기도 했다.

대웅제약은 생명연 실험동물자원센터의 공동연구 책임자인 이경륜 박사팀과의 산학 협력을 4년 가까이 이어오고 있다. 모델링과 시뮬레이션 기법을 활용한 약물 동태 및 약효 예측, 임상 용량 설정 근거 마련, 약물 간 상호작용 예측, 특정 인구 집단에서의 약물 동태 예측 등을 통해 신약 개발 전략을 고도화하고 효율성을 극대화했다.
특히 임상 단계별로 체계적인 모델링 연구를 통해 최적의 임상 디자인을 도출하는 등 신약 개발 성공률을 높였다. 또 국내외 규제기관에 근거 자료로 활용해 임상 개발 비용과 기간을 대폭 줄였다. 아울러 모델링 및 시뮬레이션을 통해 예측된 결과를 기반으로 리스크를 사전에 관리해 내부 의사결정 속도를 높였다는 게 대웅제약의 설명이다.
전승호 대웅제약 대표는 “이번 성과는 신약 개발 과정에서 모델링 및 시뮬레이션 기술을 활용해 구체적인 연구 역량 강화로 이어졌다는 점에서 성공적인 협력 사례로 남을 것”이라며 “추후 생명연과 공동 연구를 진행해 회사의 후속 신약 파이프라인에서도 과학적 근거를 확보하는 등 혁신신약 개발에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대웅제약과 생명연의 공동 연구개발 MOU는 2019년 8월부터 1년씩 효력이 연장되고 있다.
관련기사
- 대웅제약, 당뇨신약 '엔블로' 아세안 3국에 품목허가 신청
- 제약협 대표단, 스위스서 글로벌 빅파마와 협력 방안 논의
- 제약바이오업계, 유망 바이오 초기 기업 발굴·지원 나선다
- 에콰도르 찍고 칠레로, 펙수클루 연이은 중남미 공략
- 제약업계, 국내 유망 바이오텍 투자 마중물 채비로 분주
- "국내 바이오텍 성장하려면 빅파마와 공동개발 나서야"
- 대웅제약, 지주사 대웅에 자사주 500억 규모 처분…"혁신 신약 박차"
- 매거진에 1:1상담까지…대웅제약, 건기식 온라인몰 새로 열어
- 대웅제약, 인도네시아 제약·바이오 산업 동반성장 비전 발표
- 대웅제약, 나보타·엔블로·펙수클루 글로벌 진출로 성장동력 강화
- 대웅제약, 美 애디텀바이오 자회사에 6400억 글로벌 기술수출
- "바이오텍 창업 요람, 생명공학연구원… 기술사업화 정조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