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대혈, 유전체 분석·진단, CDMO 등 국내사업 호조
아스텔라스 재생의학센터와 430억 규모 기술이전

차바이오텍은 2022년 내부결산 결과 연결기준 매출액이 8441억 원으로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차바이오텍은 지난해 실적을 잠정 집계해 2일 공시했다.

차바이오텍 오상훈 대표는 이날 "그동안 R&D 진행을 가속화하기 위해 내부 사업부문의 견실한 현금창출 사업구조를 구축했고, 지난해 물가와 금리가 상승하는 등 불확실한 경영 환경이 지속되는 상황에도 외부자금 조달없이 연구개발 투자를 확대했다"며 "앞으로 세포치료제의 상용화와 글로벌 CDMO 사업의 가시적인 성과 달성에 더욱 매진하겠다"고 말했다.

매출액은 미국과 호주 등 해외사업의 지속 성장과 국내사업 호조로 전년 대비 16%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미국 LA 할리우드 차병원 병동 신축 비용, 텍사스 마티카 바이오테크놀로지 CDMO(위탁개발생산) 생산시설과 운영비용, 차바이오텍∙차백신연구소의 R&D 임상 비용 증가로 455억 원 적자를 기록했다.

별도기준 매출액은 423억 원, 영업손실은 9억 원이다. 매출액은 견실한 사업구조를 바탕으로 제대혈 보관사업과 유전체 분석·진단 사업 호조와 함께 면역세포 사업 재개 및 국내 CDMO 사업 확대가 고성장을 견인해 전년 대비 20%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현재 집중하고 있는 고형암 면역세포치료제(CBT101), 퇴행성 요추 추간판으로 인한 만성 요통 세포치료제(CordSTEM-DD) 등의 상업 임상과 난소기능부전치료제(CordSTEM-POI)와 파킨슨병 세포치료제(CBT-NPC) 파이프라인 연구개발비가 증가했으나, 사업부문의 이익이 증가해 9억 원 적자를 기록해 적자 폭을 줄였다.

차바이오텍은 우수한 인재 영입과 기술력을 바탕으로 세포치료제 상업화를 위한 적극적인 행보에 나서고 있다. 이현정 사장을 영입해 차바이오텍과 차바이오그룹의 연구개발 부문을 강화했다. 이현정 사장은 20년간 화이자, 미국 일라이릴리 본사, 박살타와 샤이어(현 다케다) 등 글로벌 기업에서 신약 개발 경험을 가진 임상개발 전문가다.

CDMO 사업 측면에서도 많은 성과가 있었다. 판교 제2테크노밸리에 단일 시설로는 세계 최대 규모의 세포·유전자치료제 CDMO 시설인 'CGB(Cell Gene Biobank)' 신축 공사를 시작했고, 미국에 마티카 바이오테크놀로지의 3세대 세포·유전자치료제 CDMO 시설을 준공했다.

또한 차바이오텍은 2일 일본 글로벌 제약회사 아스텔라스(Astellas Pharma)의 자회사인 아스텔라스 재생의학센터(AIRM, Astellas Institute for Regenerative Medicine)와 3200만 달러(약 430억 원) 규모의 기술이전을 계약했다.

이번 계약에 따라 회사는 아스텔라스 재생의학센터에 망막색소상피세포(RPE) 및 배아세포(Blastomere) 기술을 이전한다. 이 계약으로 회사는 반환 조건 없는 계약금(Upfront Payment)으로 1500만 달러(약 200억 원)를 받는다. 또 마일스톤(단계별 기술료)은 총 1700만 달러(약 230억 원)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히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