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기지속형 주사제 플랫폼 기술 기반 신약개발 협력

약물전달기술 플랫폼 기업 인벤티지랩(대표이사 김주희)이 애니젠(대표이사 김재일)과 지난달 28일 펩타이드 의약품 공동개발 및 전략적 사업화에 대한 업무협약(MOU)를 체결했다.
2일 인벤티지랩 김주희 대표이사는 "인벤티지랩이 보유한 마이크로플루이딕스 기반 기술을 통해 생체 친화적이면서 강력한 약효와 부작용이 낮은 펩타이드의 장점은 유지하면서 안정적인 약물 전달이 가능할 것"이라며 "이번 MOU를 통해 공동개발 파이프라인을 구축하고 애니젠의 글로벌 네트워크와 협력한 빠른 사업화로 펩타이드 의약품 시장 진출에 속도를 낼 계획"이라고 밝혔다.
애니젠 김재일 대표이사는 "애니젠의 독자적인 펩타이드 개발 기술과 인벤티지랩의 약물전달 플랫폼 기술 간의 시너지 효과가 기대된다"며 "펩타이드는 암, 당뇨, 비만 등 장기적인 치료가 필요한 여러 질병에 활용되고 있는 만큼, 이번 MOU를 통해 우수한 품질의 다양한 의약품을 개발할 것"이라고 말했다.
인벤티지랩은 마이크로플루이딕스(Microfluidics, 미세유체역학) 기반 약물전달기술 플랫폼을 연구·개발하는 기업으로, 다양한 장기지속형 주사제 제조 플랫폼(IVL-DrugFluidic) 기반의 파이프라인과 유전자치료제 및 백신 제조 플랫폼(IVL-GeneFluidic)을 보유하고 있다.
애니젠은 펩타이드 바이오 소재(산업용·의약용) 및 아미노산·펩타이드 기반 항암, 항당뇨 및 진통 등의 글로벌 혁신 신약을 개발하는 바이오 소재 전문회사다.
양사는 이번 MOU를 통해 애니젠이 보유하고 있는 펩타이드 기반 혁신 신약을 약물전달기술 플랫폼에 탑재하는 방식으로 의약품 개발 공동연구를 진행한다. 이를 통해 펩타이드 약물의 안정적인 방출을 통해 약물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또 공동개발 파이프라인에 대한 글로벌 사업화에도 협력할 예정이다.
펩타이드는 단백질의 구성 요소인 아미노산이 2~50개 정도 연결된 중합체로 체내에서 너무 쉽게 분해돼 치료 농도를 오랜 기간 유지하기 어려워 반감기가 짧고 생체이용률이 낮다는 한계가 있지만 합성의약품보다 생체 친화적이고, 부작용이 적어 잠재력이 높은 약물로 평가받는다.
인벤티지랩의 IVL-DrugFluidic은 기존 기술에 비해 높은 약물 봉입률로 일정한 크기의 마이크로스피어(미소구체) 제조가 가능해 높은 품질을 바탕으로 정교한 약물제어가 가능하다. 이러한 안정적인 약물 방출은 약물의 생체이용률을 높여 펩타이드가 가진 한계를 극복하고 치료제로서의 장점을 극대화하기에 적합하다는 것이 회사 측의 설명이다.
관련기사
- 인벤티지랩, 지질나노입자 제조공정 국내 특허 등록
- 인벤티지랩 "다발성 경화증 치료제, 식약처 희귀의약품 지정"
- 인벤티지랩, 유전자치료제 통합공정 LNP 제조시스템 개발 결과 발표
- 인벤티지랩, 유바이오로직스와 'LNP CDMO' 사업화 계약 체결
- 인벤티지랩 "자가면역질환 치료 장기지속 주사제, 美 특허 등록"
- 인벤티지랩, 바이오 USA 참가…"글로벌 사업화 논의 가속화"
- 인벤티지랩 "LNP CDMO 사업화 집중…동물의약품 L/O 목표"
- 인벤티지랩, CB 발행∙유상증자 통해 총 185억 자금 조달
- 애니젠, 에이조스바이오와 '신규 펩타이드 약물 개발' 사업화 MOU
- 애니젠, 日 글리텍과 당-펩타이드 위탁생산·공동개발 협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