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링거-릴리, 자디앙 적응증 확대 기자간담회 개최
의료진, 자디앙 심혈관계 혜택 강조

당뇨병 치료제 SGLT-2 억제제인 '자디앙(엠파글리플로진)'이 적응증 확대로 차세대 심부전 치료제 자리를 넘보고 있다.

의료진들은 10일 한국베링거인겔하임과 한국릴리가 개최한 기자간담회 자리에서 자디앙의 심혈관계 혜택을 설명하며 임상현장에서 심부전 치료를 위한 새로운 치료옵션임을 강조했다.

자디앙은 지난달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좌심실 수축기능이 저하된 만성 심부전 환자에 사용할 수 있도록 적응증을 추가로 승인받았다. 

강남성심 최성훈 교수, 분당서울대 최동주 교수, 고대구로 김응주 교수(왼쪽부터).
강남성심 최성훈 교수, 분당서울대 최동주 교수, 고대구로 김응주 교수(왼쪽부터).

심부전은 심장이 전신 순환을 통해 신체가 요구하는 정도의 산화된 혈액을 충분히 공급하지 못해 쇠약을 유발하는 잠재적으로 치명적인 진행성 질환이다. 전세계적으로 심부전 유병률과 이로 인한 입원율은 지속적으로 증가추세에 있으며, 현재 확립된 치료 기준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심부전 환자의 5년 생존율은 75% 미만 으로 미충족 수요가 높은 질환이다

자디앙이 당뇨병에서 심부전으로 치료영역을 넓히는데 핵심적 역할을 한 연구는 'EMPA-REG OUTCOME' 임상연구다. 

고대구로병원 심혈관센터 김응주 교수는 "자디앙은 EMPA-REG OUTCOME 임상연구를 통해 최초로 제 2형 당뇨병 환자에서 심혈관계 사망 감소를 확인했을 뿐만 아니라 심부전으로 인한 입원 감소, 신장질환 발생 위험 감소 등 일관된 심혈관계 혜택을 보여줬다"며 "이로써 SGLT2 억제제가 당뇨병에서 심부전 치료제로 변화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했다"고 밝혔다.

분당서울대병원 순환기내과 최동주 교수(대한심부전학회장)는 "SGLT2 억제제가 심부전 환자에서 유의한 임상결과를 발표함에 따라 올해 5년만에 개정된 유럽심장학회(ESC)의 심부전 치료 가이드라인은 자디앙과 다파글리플로진(제품명 포시가) 등 SGLT2억제제를 권고 수준 1등급으로 제시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 2016년 ESC가이드라인에서는 심부전 치료를 위해 'Stepwise approch'를 제시했다. ACE 억제제와 베타 차단제 - MRA(무기질코르티코이드 수용체 길항제)- ARNI(안지오텐신 수용체 네프릴리신 억제제) 순이다. 하지만 올해 가이드라인에서는 'Foundational approach'로 SGLT-2 억제제와 베타 차단제, ACE 억제제, MRA를 제시했다.

최 교수는 "기존 약제들과 자디앙의 심부전 치료에서 직접적인 비교는 어렵다. 하지만 새로 나오는 약제들은 기존 치료제보다 효과가 뛰어나야 우수성을 증명할 수 있다는 점에서 자디앙의 강점을 파악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김 교수는 "표준치료 약제들은 이니셜 도즈(dose)와 타깃 도즈가 있어 부작용 등을 고려하면서 용량을 조절해야 하지만 SGLT-2 억제제는 부작용이 덜하고 타깃 용량이 없다는 점에서 상대적인 강점이 있다"고 부연했다. 

이와 함께 당뇨병 동반 여부와 관계없이 심박출률이 감소된 심부전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된 EMPEROR-Reduced 임상연구에서 자디앙은 심혈관계 사망 또는 심부전으로 인한 입원의 복합 상대적 위험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25% 감소시키며 1차 평가지표를 충족했다. 

또한 자디앙은 심부전으로 인한 처음 또는 반복적인 입원 위험을 30% 감소시켰으며, 신기능 저하의 지표인 사구체 여과율(eGFR)의 감소도 위약군 대비 자디앙 투여군에서 더욱 지연된 것으로 확인됐다. 말기신장질환과 심각한 신기능의 손상 등 신장복합평가지표에서 상대적 위험률을 50% 감소시켰다.

한림대강남성심병원 순환기내과 최성훈 교수는 "EMPEROR-Reduced 임상연구는 한국인을 포함 실제 심부전 환자의 임상 환경을 최적으로 반영했으며, 이를 통해 국내외 여러 학회의 가이드라인에서 심부전 관리를 위한 우선 약제 중 하나로 자디앙을 권고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자디앙은 당뇨병 및 만성신장질환 동반 여부, 기존 심부전 약제의 사용 여부와 관계없이 다양한 임상적 특징을 가진 심박출률 감소 심부전 환자에서 일관적인 유효성과 안전성 프로파일을 보였다"고 전했다.

베링거와 릴리는 "자디앙 임상디자인이 실제 임상현장에서 볼 수 있는 처방현황을 많이 반영했다"며 이 같은 데이터를 바탕으로 협업하는 유한양행과 함께 적극 프로모션 하겠다고 밝혔다. 

AD 실시간 제약시장 트렌드, 데이터로 확인하세요. 제약산업을 읽는 데이터 플랫폼 BRP Insight
저작권자 © 히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