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청, 화이자 300만명-노바백스 2000만명 분 계약 체결
총 7900만명 분 백신 확보...신속한 예방접종 노력

코로나19 백신 생산·공급 불확실성 논란이 계속되는 가운데 정부가 상반기 안정적인 백신 수급을 위해 2300만명분 백신을 추가 계약한다고 밝혔다. 

16일 질병관리청(청장 정은경)에 따르면 정부는 화이자 백신 300만명 분(600만 회분)을 지난 15일 추가 계약하고, 당초 3분기 공급시작 시기를 3월 말로 앞당겼다. 

그간 구매 계약 논의를 진행해 온 노바백스 백신 2000만명분(4000만 회분)에 대한 계약도 체결한다.
 
전 세계적으로 코로나19 백신 생산·공급의 불확실성이 높아지고 있어 특히 상반기 백신 물량이 제한적인 상황이다. 
 
정부는 이에 대비하기 위해 지난해 계약한 화이자 백신 1000만명분(2000만 회분)에 더해, 300만 명분(600만 회분)을 추가 구매함으로써 총 1300만 명분(2600만 회분)의 화이자 백신을 구매 계약했다. 조기 공급 협상 결과에 따라 1분기(3월 말) 내 50만 명분(100만 회분), 2분기에 300만 명분(600만 회분)이 공급될 예정이다. 

현재 화이자 백신은 식약처에서 허가 심사를 진행 중이며, 3월 말 도입되는 백신에 대한 국가 출하 승인이 완료되면 4월부터 예방접종을 시행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질병청은 오늘(16일) 오전 10시 질병관리청에서 SK바이오사이언스(대표 안재용)와 코로나19 노바백스 백신 공급 계약 체결식을 개최하고, 2000만 명분(4000만 회분) 선구매 계약을 체결한다.

이날 계약 체결식에서는 질병청·노바백스·SK바이오사이언스 간 코로나19 백신 생산·공급과 관련한 협력 방안이 논의될 예정이다. 

노바백스 백신은 기술이전 방식으로 국내에서 코로나19 백신을 생산하는 첫 사례가 된다. 정부는 우리나라의 백신 개발 원천 기술 확보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안정적인 백신 공급 기반을 마련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내다봤다.

특히 노바백스 백신은 기존 인플루엔자, B형간염 등 다수 백신에 적용되는 합성항원 방식이다. 합성항원 백신은 항원 단백질을 합성해 면역증강제와 섞어 인체에 투여함으로써 면역 반응을 유도하는 방식으로, 냉장(2~8℃) 조건으로 보관 및 유통이 가능하다.

정은경 질병관리청장은 "정부는 계약 체결 예정인 노바백스 백신 2000만 명분(4000만 회분)을 더해 지금까지 총 7900만명분(1억5200만 회분) 백신을 확보했으며, 앞으로도 조기 공급과 신속한 예방 접종을 위해 노력할 계획"이라고 했다. 

저작권자 © 히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