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t-check]
코로나 19 방역 정책으로 ‘봉쇄’ 전략이 채택되지 못한 이유
“감염병 초기에는 봉쇄(containment) 전략을 씁니다. 봉쇄의 목적은 질병을 종식시킨다기 보다, 확산 시점을 연기시키는 것입니다. 확산이 확인되면, 그때는 완화(mitigation) 전략을 씁니다. 지금이 봉쇄에서 완화로 전략이 넘어가야 하는 시기입니다.” (기모란 대한예방의학회 코로나 19 비상대책위원장이 시사주간지 <시사IN>과의 인터뷰 중)
코로나 19 확진자 수가 5700여명을 넘어가고 있습니다. 이젠 더 이상 ‘봉쇄’ 전략만으로는 코로나 19를 대항하기 어려운 상황에 이르렀습니다. 전문가들은 이제 완화 전략으로 가야한다고 말합니다. 완화 전략은 감염을 조기에 발견하고, 빠른 시일 내에 발견해 사망자 수를 최소화는 게 주요 목표입니다. 반면, 최대집 대한의사협회 회장은 지난 3일 미래통합당과의 간담회에서 “해외 감염원 차단은 여전히 필요한 바, 위험 지역으로부터의 제한적 입국제한등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고수했습니다.
물론 봉쇄 전략이 불필요하다는 것은 아닙니다. 감염병 확산 초기에 ‘봉쇄’ 전략은 확산 시점은 늦춘다는 측면에 의미를 가집니다. 확산 시점을 늦춰 진단, 치료제, 백신 개발에 대한 재정비의 시간을 갖는 것입니다. 실제로 이 기간 동안 국내는 칼레트라, 말라리아 치료제 등을 오프라벨로 권고했습니다. 또 각종 진단 시약을 신속승인절차를 거쳐 진단 기반을 구축했습니다.

우리나라도 2009년 신종플루가 유행하던 당시에도 역학조사를 통해 감염 접촉자를 자가격리 시키는 조치를 취하다, 특정 시점부터는 완화 전략을 펼쳤습니다. 그리고 이는 비단 국내 전략만이 아닙니다. 마크 립시치(Marc Lipsitch) 하버드대학교 역학 교수 역시 미국 언론 디 아틀란틱(The Atlantic)을 통해 다음과 같은 입장을 밝혔습니다.
“궁극적으로 코로나 19 전염을 막기 위해 (봉쇄 전략을 펼치는 것은) 수용될 수 없을 것입니다.”
봉쇄 전략이 유효했다면, 중국 우한에서 시작된 코로나 19가 약 24개국으로 퍼져 않았을 것입니다. 중국 우한에선 지난 1월 1억명을 모두 가두고, 외출을 금지했습니다. 우리 역시 초기 봉쇄 전략을 펼쳤으나, 다양한 사회적 변수로 말미암아 완벽한 봉쇄를 펼칠 수 없었습니다. 이에 대해 제임스 햄블린(James Hamblin) 디 애틀란틱 기자(예일대학교 공공보건대학원 조교수)는 지난달 24일 '당신은 코로나바이러스에 걸릴 지도 모른다(You’re Likely to Get the Coronavirus)'라는 제목의 기사를 통해 다음과 같은 설명을 합니다.(기사 링크;https://www.theatlantic.com/health/archive/2020/02/covid-vaccine/607000/)
“(중국 등이) 아무리 완벽한 봉쇄 정책을 펼쳤더라도, 바이러스(코로나 19) 확산은 피할 수 없었을 것입니다. 무증상 등 경미한 증상을 가진 사람도 전염을 시킬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중증도 사람만 검사하는 전략 역시 불완전합니다.”
치사율이 낮고, 전염력이 강한 바이러스(코로나 19 등)의 경우 봉쇄 전략을 펼치기가 더 어렵습니다. 치사율과 전염력은 반비례 관계를 갖는데요. 쉽게 말해 숙주인 인간이 죽으면, 그 만큼 바이러스의 전염력은 떨어질 수 밖에 없기 때문이죠. 단순히 봉쇄만으로 코로나 19와 같은 바이러스의 높은 전염력을 막을 수 없다는 것입니다.
제임스 기자는 기자 말미에 다음과 같은 결론으로 코로나 19 봉쇄 조치에 대한 입장을 정리합니다.
“여행을 금지하고, 도시를 폐쇄하며, 자원을 비축하는 것들은 오랫동안 지속되는 질병(감염병 등)에 대한 현실적인 해답이 아닙니다. 궁극적으로 판데믹(범 지구적인 전염)에 대한 대응은 빗장을 잠그는 것이 아닌, 국경을 열어야 함을 의미합니다. 누구든 코로나 19에 감염될 수 있으며, 이를 완벽히 피하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것을 인정해야 합니다.”
끝으로 범학계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대책위원회가 지난달 22일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지역사회 확산' 대비ㆍ대응 범학계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대책위원회 대정부ㆍ국민 권고안’을 인용하며 마무리하겠습니다.
“이제는 확진자 발견과 접촉자 격리 등 차단 중심의 봉쇄전략(1차 예방)에서 지역사회 확산을 지연시키고, 이로 인한 건강피해를 최소화하는 완화전략(2차 예방)의 방향으로 전환해 나가야 할 시기가 되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