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AT3 직접 분해 'bioPROTAC'…불응성 아토피 환자 대상 새 치료 옵션
제넥신(대표이사 홍성준, 최재현)은 국가신약개발사업단(단장 박영민, 이하 사업단)이 주관하는 '2025년도 제2차 국가신약개발사업 신규지원 대상과제'에 선정돼 차세대 TPD 기반 아토피 피부염 치료제 선도물질 발굴 연구를 수행한다고 21일 밝혔다.
이번 과제는 제넥신의 차세대 TPD 플랫폼인 'EPDeg bioPROTAC'과 mRNA-LNP 전달 기술을 기반으로, STAT3를 직접 분해하는 혁신 아토피 피부염 치료제 선도물질을 발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연구는 2025년 10월 1일부터 2027년 9월 30일까지 총 24개월간 수행된다.
아토피 피부염을 포함한 피부 면역질환에서는 다양한 사이토카인 (IL-4, 13, 31 등)에 의해 STAT3 신호가 과활성화 되어 염증 및 가려움증을 심화시키고 피부장벽을 손상시킨다.
회사에 따르면 글로벌 블록버스터 제품 듀피젠트(성분 두필루맙)는 IL-4/IL-13 전달 경로만 억제해 전체 환자의 약 25%에서 치료 불응이 발생하고 있다. 회사 측은 "사전에 진행된 in-vivo 실험에서 아토피 동물모델에 두필루맙과 동일한 피하주사 방식으로 STAT3 bioPROTAC을 투여한 결과 전반적인 아토피 피부염 증상에서 두필로맙 대비 개선된 치료 효과를 확인했다"고 밝혔다.
최재현 대표이사는 "STAT3를 직접 분해하는 아토피 치료제는 기존 치료제가 해결하지 못하는 환자군에 새로운 치료 옵션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라며 "이번 과제선정으로 글로벌 파트너들과 공동개발 및 기술이전 가능성도 함께 모색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