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분기 실적 발표로 관리종목 지정 우려 지워
유상증자 성공 및 확보 자금으로 NT-I7 중심 파이프라인 개발

네오이뮨텍
네오이뮨텍

T세포 기반 면역치료 글로벌 선도 기업 네오이뮨텍은 법인세비용차감전계속사업손실(이하 법차손) 관련 관리종목 지정 우려가 완전히 해소됐다고 10일 밝혔다.

네오이뮨텍의 올해 3분기 보고서에 따르면, 회사는 안정적인 재무 구조를 유지하고 있으며 충분한 현금 유동성과 자본 여력을 기반으로 핵심 파이프라인 개발과 신규 사업 검토를 진행하고 있다.

3분기 원화 기준 현금 보유액은 전환사채 120억원을 제외하고 578억원으로 단기적인 운영 및 연구개발에 필요한 유동성을 넉넉히 확보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또한, 자산총계는 883억원, 자본총계는 656억원으로 안정적인 재무 구조를 유지하고 있으며 세전손실은 211억 원으로 회사의 재무 구조 내에서 충분히 관리 가능한 수준이라고 밝혔다.

회사 측은 "이번 3분기 실적 공시를 통해 법차손 요건이 해소되어 관리종목 지정 우려는 완전히 제거됐다"며 "9월 유상증자 완료 이후에도 충분한 현금 유동성을 보유해 핵심 파이프라인 개발과 신규 사업 검토를 병행할 수 있는 재무적 여력이 확보된 상태"라고 강조했다.

네오이뮨텍은 최근 총 472억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성공적으로 완료하며, 확보된 자금을 △급성방사선증후군(ARS) 치료제 개발 △ NIT-126 등 CAR-T 병용 임상 △특발성 CD4 림프구감소증(ICL) 임상 등 핵심 개발 프로젝트에 투입한다는 방침이다. 

특히 NT-I7은 영장류 실험에서 대조군 대비 생존율 개선 폭이 53%로 상향 평가되는 등 기존 치료제 대비 효능을 입증했으며 데이터를 기반으로 미국 정부 산하 BARDA와 미팅을 진행해 ARS 치료제 NT-I7의 향후 협력 및 지원 가능성에 대해 논의했다.

여기에 플랫폼 기술 다각화 및 사업 영역 확대를 위해 다양한 인수안을 검토 중이다.

네오이뮨텍 김태우 직무대행은 "ARS 치료제의 FDA 협의 및 유럽 시장 진입, CAR-T 병용 임상 데이터 발표 등 주요 마일스톤을 차질 없이 추진해 회사의 핵심 역량 강화에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히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