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약군 도세탁셀 대비 PFS 0.7개월 연장
지난 6월 미국 이어 국내 상용화 주목

폰스-토스티빈스 박사가 다트로웨이 임상 데이터를 설명하고 있다.
폰스-토스티빈스 박사가 다트로웨이 임상 데이터를 설명하고 있다.

[바르셀로나(스페인)=방혜림 기자] 뇌 전이(CNS)를 겪은 국소 진행성/전이성 표피성장인자수용체(EGFR) 변이 비소세포폐암(NSCLC) 환자의 1차 치료에서 '다트로웨이(성분 다토포타맙 데룩스테칸)'가 두개내 객관적 반응률(IC-ORR) 37.5%를 달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8일(현지시간) 세계폐암학회(WCLC)에서는 CNS 양성 환자를 대상으로 IC-ORR과 무진행생존기간(PFS)을 평가한 글로벌 임상 3상 'TROPION-Lung01' 데이터가 발표됐다. IC-ORR은 항암치료 후 뇌종양의 크기가 감소하는 등 객관적인 반응을 보인 환자 비율을 말한다.

연구에 참여한 모든 환자는 뇌 영상 검사를 받았고 무증상 CNS가 확인된 환자는 6주마다 추가 영상 검사를 받았다. 환자들은 무작위로 배정됐고, 이들은 3주마다 한번씩 다트로웨이 6㎎/㎏ 또는 도세탁셀 75㎎/㎡를 투여받았다.

연구 결과 27명의 환자에서 측정 가능한 질환이 나타났는데, 이들 중 다트로웨이 투여군의 IC-ORR은 37.5%(95% CI, 15.2-64.6, including one complete response; n=6/16)로 나타났다. 도세탁셀 투여군은 0%(95% CI, 0-28.5; n=0/11)에 불과했다. 측정 불가능한 질환을 가진 환자를 포함했을 때 IC-ORR은 다트로웨이군에서 15.8%(95% CI, 6.0-31.3; n=6/38), 도세탁셀군에서 0%(95% CI, 0-11.6; n=0/30)로 확인됐다.

CNS가 있는 환자의 무진행생존기간 중앙값(mPFS)은 다트로웨이(4.4개월)가 위약군(3.7개월) 대비 더 길었고(hazard ratio [HR] 0.65 [95% CI, 0.39-1.09]; n=127), 추가 검사를 받은 이들의 PFS도 5개월 대 3개월(HR 0.48 [95% CI, 0.23-0.98]; n=68)로 다트로웨이 치료군에서 더 연장됐다. 두개내 반응까지 중앙값은 다트로웨이군이 1.5개월(range, 1.2-2.6; n=6)을 기록했고 도세탁셀 투여군은 도달하지 못했다.

폰스-토스티빈스 박사
폰스-토스티빈스 박사

폰스-토스티빈트 박사는 "연구를 통해 치료받지 않은 CNS 환자 또는 방사선 치료 후 CNS가 진행된 환자의 치료에서 다트로웨이의 임상적 이점을 확인했다"며 "이 결과는 'TROPION-Lung05' 데이터와 일치하며 CNS 전이 NSCLC 환자 치료에서 다트로웨이의 치료 가능성을 뒷받침한다"고 말했다.

다트로웨이는 지난 6월 미국 식품의약국(FDA)에서 TROPION-Lung05 임상시험 데이터를 바탕으로 가속 승인을 받았다. 허가 대상은 'EGFR 저해제 및 백금 기반 항암제를 투여받은 경험이 있는 국소 진행성 또는 전이성 EGFR 변이 NSCLC 환자'다. 다트로웨이의 미국 내 판매는 다이이찌산쿄가 담당하며 아스트라제네카는 다이이찌산쿄에 4500만 달러(약 624억원)의 마일스톤을 지급하게 됐다.

또한 다이이찌산쿄가 국내 허가를 신청한 것으로 알려져 국내 상용화 여부와 시점이 주목된다.

AD 실시간 제약시장 트렌드, 데이터로 확인하세요. 제약산업을 읽는 데이터 플랫폼 BRP Insight
저작권자 © 히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